윤두서(尹斗緖) 고택 전경.
중요민속문화재 제232호.
소재지: 전남 해남군 현산면 백포길 122.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인 공재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살던 집이라고 한다. 윤두서는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 후기의 3재로 일컬어지며,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증손자이다. 윤선도가 풍수지리상 명당터에 이 집을 지었으나, 바닷바람이 심해 다른 곳으로 옮기고 증손인 윤두서가 살게 되었다고 한다.
지은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현종 11년(1670)에 지어 후에 윤두서가 살게 되었고 순조 11년(1811)에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지을 당시에는 문간채와 사랑채 등 48칸 규모였다고 하나, 지금은 안채와 곳간채· 헛간· 사당만이 남아있다.
ㄷ자형의 안채는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고, 북서쪽에 위치한 광의 남측지붕은 앞면이 사다리꼴 모양인 우진각지붕이다. 바닷바람의 영향을 막고자 지붕을 높이 쳐들지 않고 푹 덮었으며, 벽은 방의 용도에 따라 회벽과 판자벽을 조성하였다.
문인화가의 옛집으로 조선 후기의 건축수법이 잘 남아있는 유서 깊은 전통주택이며, 인근마을에 해남 윤씨의 기와집 10세대가 있어 더욱 옛스러운 정취를 풍기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윤두서 고택 입구에 세워진 안내판.
별채?.
별채라고는 적었지만 재각인지 아니면 사당인지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없어 어떤 용도로 사용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윤두서 아호인 공재라고 처마 밑에 새겨두었는데 후대의 사람들이 윤두서화백이 주로 머물었던 공간이라는 표시를 해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구둘장에 불을 지피는 아궁이.
별당채.
별당채 마당. 마당 한켠에 동백나무가 돋보인다.
우물.
텃밭.
우물과 텃밭사이에 자리한 노거수.
답사: 2014년 12월 28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장흥. 장흥위씨. 백산재(栢山齋) (0) | 2015.01.31 |
---|---|
전남 장흥. 연곡서원(淵谷書院) (0) | 2015.01.29 |
전남 해남. 정운 충신각(鄭運 忠臣閣) 전남 기념물 제76호. (0) | 2015.01.27 |
전남 해남. 윤탁 가옥(尹鐸 家屋) (0) | 2015.01.24 |
전남 해남. 성내리 수성송(守城松) (0) | 201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