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일주문.
전남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진도 첨찰산(尖察山) 기슭에 자리한 쌍계사(雙溪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本寺) 대흥사의 말사(末寺)로서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절집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건했다.
1880년 <동사열전>의 저자인 각안(覺岸: 1820∼1896)이 머물며 동산(東山). 지순(知淳)과 함께 대법당과 시왕전. 첨성각을 중수했으며, 이후 1980년 도훈(道薰)이 해탈문(解脫門)을 세우고 불사(佛事)를 진행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전각으로는 대웅전과 시왕전. 해탈문. 범종각. 요사채 등이 있으며 그 中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 건물로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으며 내부에 석가모니불 등 삼존불을 비롯하여 여러 점의 탱화와 소종. 중종. 법고가 있다. 그 가운데 중종은 종신에 적힌 명문에 따르면, 1686년에 조성되었으며 1720년에 다시 주조되었다. 시왕전 내부에는 지장보살상을 비롯하여 모두 33점의 목조각상이 있다.
- 쌍계사 홈페이지 -
사천왕문.
동방지국천왕(좌) 남방증장천왕(우)
서방광목천왕(좌) 북방다문천왕(우)
쌍계사 대웅전 안내문.
우화루(雨花樓)
대웅전(大雄殿)
전남 유형문화재 제121호.
지정일: 1985. 02. 25.
쌍계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이다. 지어진 연대는 1982년 수리할 때 발견된 기록에 숙종 23년이라 쓰여져 있어 정확히 1697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가장 단순한 맞배지붕이다. 문의 가운데 칸은 4짝으로 빗살문이며, 양쪽 끝칸은 3짝으로 띠살문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출처: 문화재청>
*현재 복원 불사 중으로 대웅전에 봉안되었던 삼존불을 우화루에 임시로 봉안하고 있다.
복원 불사 중인 대웅전.
복원 불사 중인 대웅전 내부.
임시 대웅전으로 사용 중인 우화루.
쌍계사 목조삼존불좌상
(雙溪寺 木造三尊佛坐像)
전남 유형문화재 제221호
지정일: 1999. 08. 05.
진도군 의신면 쌍계사의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상이다. 나무로 만들어진 이 불상은 가운데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협시불을 모시고 있는 형태이다.
만든 연대에 관한 기록이 밝혀지지 않다가, 조선 숙종 23년(1697)에 세워진 대웅전의 상량문이 발견되어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후반의 불상 양식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절대 연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하게 여겨진다.
전남 지방에 많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불상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되고 있는 작품이다.
진도 쌍계사 목조삼존불좌상 안내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1호(1999년 8월 5일)
원통전.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사찰 당우.
원통전의 관세음보살 불상.
범종각.
공양간.
수각.
대웅전과 시왕전(十王殿).
시왕전(十王殿)은 별도로 포스팅하겠습니다.
*후기: 쌍계사 대웅전 복원 불사 회향 법회가 2016년 10월 29일 오전 11시에 열린다고 한다.
*2016.10.02.
'한국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함평. 관음사(觀音寺) (0) | 2016.10.21 |
---|---|
전남 진도. 쌍계사 시왕전(十王殿) (0) | 2016.10.14 |
전남 함평. 해보리 석불입상 (0) | 2016.10.01 |
전남 함평. 보광사 범종 (0) | 2016.08.23 |
전남 강진. 옴천사(옴泉寺)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28호.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