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연안김씨 종택(靈光 延安金氏 宗宅)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
(1998.01.05)
전남 영광군 군남면 동간길2길 83-1 (동간리)
평야가 보이는 산아래 자리잡은 연안김씨의 집성촌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옛집이다. 16세기 중엽에 김영(金榮)이 군수로 부임하는 숙부 김세공을 따라 영광에 온 이후 연안 김씨 직강공파가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상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 또는 '학 형국'이라고 일컬어지는 길지(吉地)에 넓게 자리잡은 북향집으로 연안 김씨의 종가이다. 고종 5년(1868)에 지었으며, 아래채는 1942년에 지은 것이다.
사랑마당을 중심으로 사랑채·서당·마부집·연못 등을 배치하였고, 중문을 통하여 안으로 들어서면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아래채가 자리잡고 있다. 사당은 언덕 뒷편 약간 경사진 곳에 있으며, 오른쪽으로 안채의 뒷마당과 통하게 되어있다. 사랑채의 남쪽에 배치된 서당 옆에 있는 넓은 연못은 지금은 터만 남아있다.
바깥대문은 '현소유자의 14대·9대·8대조가 효성이 지극하다'하여 나라에서 세워준 정려문이다. 2층 누각형대문으로 '삼효문'이라 한다. 옆으로 대문 1칸을 두어 평상시에 사용하고 삼효문은 집안의 중요한 의례가 있을 때만 열게 된다. 현판은 고종의 형인 이재면이 썼다고 한다.
건물·연못·담장 등이 지을 당시대로 잘 유지·보존되고 있으며, 대대로 물려온 교지·관복·호패 등 100여점에 달하는 유품을 소장하고 있다. 조선 후기 양반집의 규모와 배치 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지방 상류주택의 대표적인 예로 매우 중요하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2층으로 된 솟을대문.
대문이 굳게 잠겨져 있다.
방문차 들렸는데 특히 고택이나 서원은 문이 잠겨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는 황당하고 막연하기만 하지만 별 도리가 없으니 담장 밖에서 닭 좇던 강아지 마냥...
카메라 셔터를 물러본다.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지 우편물 도착 안내서가 우편함에 여러 장이 붙어있다.
밭 언덕으로 올라가 안쪽을 향해 셔터를 눌러보았다.
좀 더 가까히...
2016.12.18.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나주. 남평주조장.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27호. (0) | 2017.01.31 |
---|---|
전남 영암. 창녕조씨. 조종수 가옥(曺鐘洙 家屋) 전남 민속자료 제35호. (0) | 2017.01.19 |
전남 영광.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22호. (0) | 2017.01.16 |
전남 영광. 신호준 가옥(辛鎬俊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26호. (0) | 2017.01.13 |
전남 보성. 이금재 가옥(李錦載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7호. (0) | 2017.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