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매창공원(梅窓公園)
이매창 묘소.
전라북도기념물 제65호.
(1983.8.24. 지정)
*소재지: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567 (매창로 89)
송도에 3절이 황진이, 서경덕, 박연폭포라면, 부안 3절은 이매창, 유희경, 직소폭포라고 한다.
이매창의 묘가 있는 매창공원은 바로 이 고장 출신 조선의 명 여류시인 이매창을 기리기 위한 공원이다.
매창(梅窓, 1573~1610)은 부안 현리 이양종의 서녀로 본명은 향금이며, 자는 천향, 호는 매창·계생·계랑이다.
시조와 한시, 가무와 거문고·가야금에 이르기까지 다재다능한 명기(名技)로서 개성의 황진이와 더불어 조선 명기의 쌍벽을 이루었다.
매창은 시조와 한시 58수를 남겼고 작품으로는 『매창집』이 전해지고 있다.
매창공원에는 매창의 주옥같은 詩와 매창을 기리는 詩들이 돌에 새겨져 찾는 이를 반기고 있다.
병중 시비(病中 詩碑) / 이매창의 명시.
취하신 님께 / 이매창.
옛님을 생각하며 / 이매창.
이매창(李梅窓) 묘.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
(1983. 08. 24. 지정)
조선 중기에 부안 현리였던 이양종의 서녀로 태어난 이매창((李梅窓): 1573∼1610)의 묘이다.
매창은 그녀의 號이며, 이름은 태어난 해가 계유년이어서 계생, 계랑이라 하였다.
아버지에게서 한문을 배웠으며 시와 글씨가 뛰어나 황진이에 버금가는 명기이자 조선 여류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또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나 유희경 등의 시인과도 가까웠던 사이로 전해진다.
광해군 2년(1610) 여름 세상을 떠나자, 거문고와 함께 묻혔으며 그녀의 대표적인 시 ‘이화우(梨花雨)’는 『가곡원류』 시조집에 실려 있다.
생애 많은 시를 남겼으나 거의 없어지고, 1668년에 부안의 아전들이 외워 전하던 58편을 얻어 개암사에서 목판으로 『매창집』을 만들었다.
- 부안군청 홈페이지 -
이매창 묘소 앞에 가야금을 타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매창 묘 비석.
명원 이매창지묘. 비석.
이매창 묘소.
서기 1988년 4월에 부안 판소리 국악회 등 에서 건립한 상석.
매창 묘에서 / 김민성.
이화우 / 이매창.
어수대 / 이매창.
매창묘를 찾아서 / 정비석.
쉼터와 화장실.
임 생각 / 이매창.
천충암에 올라서 / 이매창.
공원 안에 쉼터.
월명암에서 / 이매창.
매창뜸 / 가람 이병기.
가을 / 이매창.
매창의 죽음을 슬퍼하며 / 허균(許筠, 1545~1618, 조선 중기의 문신)
매창공원의 쉼터.
매창공원 입구에 자리한 부안생활문화센터.
부안생활문화센터를 지나 매창공원 입구에 세워진 귀환이라는 탑이 방문객을 반긴다.
매창공원 안에 세워져 있는 부사(扶士)의 탑.
부사(扶士): 부안 출향 인사들의 모임.
*다녀온 날: 2021년 5월 23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부안. 전북 시도기념물 제84호. 신석정 고택. (0) | 2021.08.02 |
---|---|
전북 부안. 전북 문화재자료 제93호. 부안향교 대성전. (0) | 2021.07.30 |
전남 나주. 전남 지방문화재 제21호. 귀래당(歸來堂) (0) | 2021.07.26 |
전남 나주. 중요민속문화재 제165호. 우남고택(愚南古宅) (0) | 2021.07.21 |
전남 나주. 홍기창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9호.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