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암서원(考巖書院)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조선후기 송시열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고암서원 묘정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1호.
(1984년 4월 1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정읍시 모촌길 48-17 (하모동 378)
1689년(숙종 15)에 창건하고 1695년 사액(賜額)을 받았다.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따라 헐어 없앴으며 현재는 당시의 서원 유허지(遺墟址)에 비(碑)만 남아 있다.
이 서원에는 송시열(宋時烈)이 배향되었다. 송시열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국문(鞠問)을 받기 위하여 1689년 6월 8일 상경 도중에 정읍에서 사약(賜藥)을 받고 죽었는데, 그 후 죄 없음이 밝혀져 그의 유적을 기리기 위해 이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
이곳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겹처마로 된 원향유허비각(院享遺墟碑閣)이 있으며 이재(李縡)가 찬(撰)한 묘정비(廟庭碑)가 있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외삼문 앞에 고암서원 묘정비 안내문과 전북 문화재자료 제81호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고암서원 묘정비 안내문.
고암서원 묘정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1호
(1984.04.01 지정)
문이 잠겨있어 담장 밖에서 본 고암서원 강당과 명정재 모습.
고암서원 현판.
명정재 현판.
담장 밖에서 본 고암서원.
고암서원 복원사적비.
고암서원 묘정비(考巖書院 廟庭碑) 비각.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1호 고암서원 묘정비(考巖書院 廟庭碑)는 영조 23년(1747년)에 이재(李縡)가 쓴 비(碑)로써
현재 비각 안에 보호되어 있다. 비의 높이 195㎝, 너비 78㎝, 두께 19㎝이다.
고암서원 묘정비(考巖書院 廟庭碑) 비각.
고암서원 비석.
외부에서 바라본 고암서원과 고암서원 복원사적비.
외부에서 바라본 사당과 내삼문.
*다녀온 날: 2019년 12월 8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신안. 전남 문화재자료 제111호. 지도향교(智島鄕校) (0) | 2021.08.25 |
---|---|
전북 정읍. 김명관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6호. (0) | 2021.08.20 |
전북 부안. 전북 문화재자료 제111호. 고홍건 신도비 & 효충사 (0) | 2021.08.06 |
전북 부안. 전북 기념물 제30호.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 (0) | 2021.08.04 |
전북 부안. 전북 시도기념물 제84호. 신석정 고택. (0) | 202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