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부춘정(富春亭)
부춘정원림(富春亭園林)
전라남도 기념물 제67호.
(1985.02.15. 지정)
청풍김씨 정자와 사당.
*소재지: 전남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부춘리 365)
부춘정(富春亭)은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때 혁혁한 공(功)을 세운 남평문씨 문희개(文希凱)가 정유재란이 가라앉은 뒤에 향리에 돌아와 세운 것으로 창건 당시에는 청영정(淸穎亭)이라 불렀다.
문희개(文希凱)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한 바 있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고창현감으로 성(城)을 지켜 공(功)을 세운바 있다.
이 청영정을 1838년(헌종 4년)경에 청풍김씨의 후손 김기성(金基成)이 사들여 오늘과 같은 정면3칸, 측면2칸의 2실(室)이 있는 팔작집으로 개축하고 이름도 부춘정(富春亭)으로 고친 듯하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2칸의 온돌방과 2칸의 대청을 두고 앞뒤로 반칸의 툇마루를 두었다.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자(亭子)가 서있는 절벽 밑으로 물에 잠긴 바위에는 옥봉 백광훈이 썼다는 '용호(龍湖)'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부춘정은 주변 소나무 숲과 어울려 조화를 이룸이 매우 아름다워 부춘정원림(富春亭園林)을 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춘정마을회관.
춘정마을 버스 정류장.
춘정마을 회관에서 부춘정으로 오르는 돌계단길.
부춘정.
부춘정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2칸의 온돌방과 2칸의 대청을 두고 앞뒤로 반칸의 툇마루를 두었다.
부춘정 현판.
부춘정 대청과 방.
부춘정.
풍영루 현판.
제일강산 편액.
부춘사 창건식(富春祠 創建識)
부춘정.
부춘정 안내문.
부춘정원림 안내문.
부춘사 연혁비.
부춘정 사당. 부춘사(富春祠)
*일반적으로 사당은 사우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춘정 사당인 부춘사는
건축물 사당이 아닌 비석의 비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구 옆에는 부춘사 유허비가 과거에 부춘사 사당터임을 알리고 있다.
부춘사 입구.
부춘사 안내문.
청풍김씨 부춘원 유허비.
부춘사 공적비림.
*다녀온 날: 2021년 8월 15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장흥. 낭주최씨. 용호정원림(龍湖亭園林) 전남기념물 제68호. (0) | 2021.09.08 |
---|---|
전남 장흥. 장흥 향토문화재 제16호. 경호정(鏡湖亭) (0) | 2021.09.06 |
전남 신안. 전남 문화재자료 제111호. 지도향교(智島鄕校) (0) | 2021.08.25 |
전북 정읍. 김명관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6호. (0) | 2021.08.20 |
전북 정읍. 고암서원 묘정비. 전북 문화재자료 제81호.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