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신도비(河西 金麟厚 神道碑) 전남 기념물 제219호.

백산(栢山) 2025. 3. 24. 05:00

하서 김인후 신도비(우)와 신도비명(좌)

 

 

 
 
하서 김인후 신도비(河西 金麟厚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219호.
 
 
 
*소재지: 전남 장성군 황룡면 맥호리 산25번지.
 
 

 

 

김인후의 본관은 울산,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 또는 담재(湛齋)이다.

 

 
모재 김안국(金安國), 미암 유희춘(柳希春), 신재 최산두(崔山斗)에게 배웠고 154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 승문원 부정자에 등용된 이래 홍문관(弘文館) 정자(正字), 옥과현감(玉果縣監)을 지냈고, 도학(道學)과 절의(節義)와 문장(文章)을 두루 갖춘 인물로 널리 기림을 받았다.


 
시호문정(文正, 처음 시호는 文靖)이다. 1796년에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아울러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주역관상편(周易觀象篇)』『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를 저술했고 문집으로 『하서전집』이 있다. 장성 필암서원(사적 제242호) 등에 배향되었다.


 
조선 영조 18년(1742, 숭정기원후 재임술)에 세운 것으로, 송시열(宋時烈)이 비문을 짓고 비문 글씨는 이재(李縡), 전서는 김진상(金鎭商)이 썼다. 전후면에 각 19행씩, 양 측면에 각 8행씩 모두 54행, 1행 54자의 내용이다.
 


장성 김인후 신도비는 동국 18현에 드는 학자로서 도학과 절의, 문장을 갖춘 그의 생애와 행적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립 당시의 명유(名儒)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지었고 이재가 글씨를 쓰는 등 기록사료로서의 가치도 커 역사적·학술적·향토사적 가치가 크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하서 김인후 신도비(河西 金麟厚 神道碑)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동국(東國) 18현 가운데

1인인 김인후(1510∼1560)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한 신도비.
 
 

 

김인후 신도비 안내판.

 

전라남도 기념물 제219호.
 
 

 

김인후 신도비.
 
김인후 신도비는 거북이 모양으로 만든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신도비 상단 부분.
 

 

 

신도비 측면.
 
 

 

신도비 받침 거북돌.
 


 

김인후 신도비.
 
 

 

신도비.
 
 

 

신도비.
 
 

 

신도비 받침 거북돌.
 


 

신도비 측면.
 


 

하서 김인후 신도비(우)와 신도비명(좌)
 

 

 
 
*2024.12.08.

 

@필독 사항@
 '백산' 닉네임이 기재되지 않고 올려진 댓글은
주인없는 광고 전단지로 단정하고 삭제하겠으니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