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전남 화순. 정암 조광조 선생 유배지. 기념물 제4호.

백산(栢山) 2025. 1. 17. 05:00

정암 조광조 선생 유배지.
 
 
기념물 제4호.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정암길 30.
 
 
 

정암 조광조 선생 유배지 전경.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안내문.
 
 

이 비(碑)는 조광조(1482 ~ 1519) 선생이 기묘사화로 인하여 유배 왔던 이곳에서 사사(賜死) 당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선생은 조선 중기 성리학자로 중종을 왕 위에 오르게 한 공신들의 공을 삭제하는 [위훈삭제(僞勳削除)] 등 개혁을 단행하다가 중종 14년(1519) 훈구파의 모함을 받아 이곳 능주면 남정리에 유배되어 1개월만에 사약을 받고 죽음을 당하였다.
 
그 후 현종(1667) 당시의 능주목사인 민여로가 우암 송시열의 글을 받아 이 비를 세워 선생의 넋을 위로 하고 그 뜻을 되새기게 하였다.
 
 

외삼문
 
 

애우당(愛憂堂) 전경.
 
 

애우당(愛憂堂)
 
 

애우당(愛憂堂) 편액.
 
 

애우당의 시문 편액. 
 
 

 
 

 
 

애우당기(愛憂堂記)
 
 

내사주문(內四柱門)
 
 
 

추모비각(追慕碑閣)
 
 

비를 보호하는 건물 안내문.
 
 

추모비각(追慕碑閣) 
 
 

정암 조선생 적려유허추모비
(靜菴 趙先生 謫廬遺墟追慕碑)
 
 

정암 조선생 적려유허추모비
(靜菴 趙先生 謫廬遺墟追慕碑)
 
하단부분.
 
 

정암 조선생 적려유허추모비
(靜菴 趙先生 謫廬遺墟追慕碑)
 
 

정암 조광조 선생 유허비 번역문 안내문.
 
 

영정각(影幀閣)
 
 

영정각(影幀閣) 편액.
 
 

정암 조광조 선생 영정.
 
 

적중거가(謫中居家).
 
적중거가(謫中居家)란?
귀양살이 중에 머물던 집이란 뜻이다.
 
 

조광조 선생이 살았던 초가집.
 
 

영정각과 적중거가(초가집)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