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중손 사당(裵仲孫 祠堂) 전경.
전남 진도군 임회면 백동리 15-9.
배중손 장수에 대한 내력을 대략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고 더 상세한 것은 필자가 역사학자가 아니라서...이해하시기 바라며 궁금하신 부분은 인터넷 검색이나 진도 역사관에 들리시면 상세히 알아 보실 수가 있습니다.
배중손(裵仲孫, ?~1271)은 고려 무인정권 말기의 장군으로 원종 11년(1270년) 삼별초 반몽(反蒙) 봉기의 지도자(장수)로서 진도와 제주도를 거점으로 고려의 정통 정부를 자임하면서 반몽고 항전을 지속한 인물이다.
본 사당은 1999년 10월에 세워졌다 한다.
배중손 사당 안내문.
배중손 사당 전경.
사당 정문 입구.
해송.
이 해송은 고산 윤선도 선생이 심었다 한다.
보호수 안내문.
정충사(精忠祠)
고려 무신정권 때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조직된 군대인 삼별초의 장수 배중손(裵仲孫 ?~1271)을 배향하는 사당으로, 정충사(精忠祠)라고 부르며 향사일은 6월 15일이다.
정충사 전경을 한 컷에 담기에는 장소가 협소하여 부득이 약간 옆에서 촬영할 수 밖에 없었고, 내부는 볼 수없게 자물쇠가 채워져 있었고 본 사당이 세워진 시기가 1999년 10월이라는데, 관리 부실?때문인지 창문이 찢어져있고 그 부분은 비닐로 막아두어 매우 허술한 느낌이 들었다.
정충사 현판.
고산 윤선도 선생 사적비(左)와 굴포신당 유적비(右)
골포신당유적비(掘浦神堂遺蹟碑)
몽골군에 항전하다 희생된 삼별초 장수 배중손과 김통정(金通精 ?~1273)을 비롯한 많은 병사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소나무를 심고 제당을 지어 제를 모시기 시작하였다 한다.
현재는 굴포신당은 보이지 않고 정충사와 유적비가 세워져 있다.
고산 윤선도 선생 사적비.
정충사 옆 굴포신당유적비 부근에서...
배중손 장군상.
배중손 장군상.
삼별초 항쟁.
본 사진은 진도역사관에 전시된 삼별초 항쟁관을 촬영한 것으로 이곳에 들리면 상세히 알아볼 수 있음.
탐방일: 2010년 5월 2일.
'발길을 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장흥. 제암철쭉제 현장 (0) | 2010.05.10 |
---|---|
전북 진안. 마이산 탑영제 (0) | 2010.05.08 |
전남 진도. 녹진에서 (0) | 2010.05.05 |
전남 해남. 우수영 거북배 터미널 (0) | 2010.05.04 |
전남 해남. 해남광장 (0) | 201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