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을 따라 800

전남 장흥. 방촌유물전시관(傍村遺物展示館)

방촌유물전시관.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장흥대로 1645. 호남 실학의 대가 존재 위백규 선생의 유물과 장흥위씨 집성촌으로 고려 말 고읍지였던 방촌 마을의 유물을 보존 관리하기 위하여 방촌유물전시관을 설립하여 2005년 9월 6일 개관하였다. 방촌유물전시관에는 농경과 주거, 음식과 복식문화, 놀이문화, 세시풍속 등의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 백과사전 - 방촌유물전시관 방문 시 장흥위씨 종친이시며 장흥문화해설사로 활동하시는 위성(魏聖) 선생님을 만나 장흥위씨와 방촌리 연혁에 대한 여러가지 설명을 듣게 되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방촌유물전시관. 목사골 회주방촌. 표지석. 전통민속마을. 표지석. 방촌 전통민속마을 관광 안내도. 방촌유물전시관 입구. 제1 전시실(생활도구와 고지도 속의 방촌마을) 전..

발길을 따라 2023.11.10

전남 장흥. 장흥위씨. 존재 위백규 선생상(存齋 魏伯珪 先生像)

존재 위백규 선생상(存齋 魏伯珪 先生像) *위백규 선생 像이 지난 2018년 3월에 촬영했던 像과 다른 像으로 교체되었다. *존재 위백규 선생께서는 장흥을 본관으로 하는 실학자이다.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는 장흥위씨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지냈던 흔적들이 현재도 많이 남아있어 차례대로 찾아 보기로 한다. 위백규(魏伯珪) 자화(子華), 존재(存齋), 계항(桂巷), 계항거사(桂巷居士) 1727(영조 3)∼1798(정조 22). 조선 후기의 실학자. 대표작: 존재집, 정현신보, 사서차의, 환영지, 본초강복.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자화(子華), 호는 존재(存齋)·계항(桂巷)·계항거사(桂巷居士). 장흥 출신. 할아버지는 위세보(魏世寶)이며, 아버지는 진사 위문덕(魏文德)이다. *주소: 전남 장흥군 장흥읍 ..

발길을 따라 2023.11.08

전남 함평. 함풍이씨. 함풍부원군 묘원 & 영풍사

함풍부원군 묘원. *註: 함풍이씨와 함평이씨는 근본은 동일한데 함평이씨는 언(彦) 할아버지를 시조로 모시고 世係를 이어가고 있으며 함풍이씨는 시조 언 할아버지로 부터 5世인 함풍부원군 광봉(光逢) 할아버지를 시조로 모시며 한쪽은 함평이씨, 또 한쪽은 함풍이씨로 칭하며 양분되어있다. *함풍이씨 측의 주장은 함평이씨 시조 언(彦) 할아버지는 실존한 실록이 없으나 함풍이씨의 시조로 모신 광봉(光逢) 할아버지는 고려 실록에 등재되어 있는 실존인물이기에 광봉(光逢) 할아버지를 함풍이씨 시조로 모시고 함평이씨와 별도로 사당과 세일제를 따로 두고 행하고 있다. *함평이씨 시조산은 전남 함평군 함평읍 성남리 794번지(함장로 661)에 있다. *본 블로그 함평이씨 시조산 참조. *주소: 전남 함평군 함평읍 만흥리 21..

발길을 따라 2023.11.06

전남 함평. 함평이씨. 사산사(射山祠) *시조 배향 사우.

사산사(射山祠) 함평이씨 시조(始祖) 언(彦)이 배향(配享)된 사우. *주소: 전남 함평군 나산면 사산길 38-35 (초포리 733-3) 함평이씨의 시조인 언(彦)은 고려 태조가 나라를 건국할 때 참여하여 벼슬이 신무위대장군에 올라 함풍군의 군호를 받고 함평이씨를 창성했으며, 이로 인해 함평 고을은 함평이씨의 발상지가 됐다. 함평군 나산면 초포리 사산마을에 있는 사산사(射山祠) 사우는 1670년 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1700년부터 함평이씨 시조 (언:彦)를 비롯하여 7대에 걸쳐 사셨던 터에 지은 재실(齋室)로서 시조 (언:彦) 할아버지를 비롯하여 10世 춘수, 11世 기성군, 효우공, 함성군, 참판공, 현령공 할아버지 제사를 매년 음력 2월 중정일에 향교에서 유림과 자손이 제사를 모시는 향사우로 지내 왔..

발길을 따라 2023.10.25

전남 함평. 함평이씨. 시조 이언(李彦) 묘역 & 경모재.

함평이씨 시조 묘역. *주소: 전남 함평군 함평읍 함장로 657 (성남리793-3) 함평이씨(咸平李氏)의 시조(始祖)는 고려 광종(光宗) 때 신무위 대장군(神武衛 大將軍)을 지내고 함풍군(咸豊君)에 봉(封)해진 이언(李彦)이다. '정묘보(丁卯譜)' 세록(世錄)편에 의하면 시조공(始祖公) 이언(李彦)이 함풍군에 봉해져 자손들이 크게 번성하여 성향(姓鄕)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 뒤 4세 순지(順之)는 고려조에서 검교(檢校) 흥위위대장군(興威衛大將軍)을 지냈고, 이어 그의 큰아들 림(琳)은 문과에 급제하여 상의원직장동정(尙衣院直長同正)을 지냈다. 순지(順之)의 둘째 아들 광봉(光逢)은 충숙왕 1년(1314년) 상호군(上護軍)으로서 사신 임명을 받고 원(元)나라에 가서 연호를 원으로 고친 것을 축하하고 왔다. ..

발길을 따라 2023.10.23

전남 나주. 함평이씨. 석관정(石串亭)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표석비. 함평이씨 정자. *주소: 전남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578 (동당리 845)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황포돛배와 영산강 절경을 볼 수 있는 석관정. 영산강 물줄기가 죽산보를 지나 더 내려가면 영산강과 고막천이 합류하는 곳에 석관정(石串亭)이 있다. 석관이란 바위가 뛰어나온 돌곶을 한자어로 표현한 말이다. 석관정 아래 이별바위가 있고 이곳에서 전쟁 때마다 장정들을 실어 날랐다고 한다. 남편이나 연인을 따라왔다가 넓어진 강을 더 이상 건너지 못하고 이별하거나 강물에 투신했던 슬픈 역사를 안고 있다. 동당리 석관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강 건너편이 바로 금강정이 있는 공산면 신곡리다. 조선시대에는 동당리와 강건너 신곡리를 오고가는 나루가 있었는데, 이를 '석관정..

발길을 따라 2023.10.20

전남 나주. 함평이씨. 초동사(艸洞祠)

초동사(艸洞祠) 함평이씨 사우.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362-15 (문동리 산 68) 초동사(艸洞祠) 5세 임(琳), 6세 요(堯), 7세 인관(仁琯), 8세 현우(玄雨), 9세 자보(自寶), 10세 이(貽), 극해(克諧) 극명(克明) 등 9위를 모신다. 원래는 1957년 창건하여 인관, 현우, 자보, 10세 이, 극해, 극명 6위를 모셨으나 1979년 중창하여 5세 임(琳), 6세 요(堯)를 추배하였다. 매년 양력 4월 제2 일요일 시조의 세일제 후에 제사한다. 현재의 초동사는 대부분의 목조 건물이 보존을 위해 단청을 하는데 반해 파스텔톤으로 단장되어 특이하고 현대적 미감이 느껴진다. 옥물각(玉菩刻)은 지평공 덕생의 현손 15세 예빈사직장(禮賓寺直長) 우춘(遇春)이 정유란시 순천 예교전..

발길을 따라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