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서산동 '시화골목길' 탐방. 서산동에 시화골목길은 영화 1987 촬영지 연희네 슈퍼 앞길에서부터 보리마당으로 통하는 골목길에 조성되었다. 연희네 슈퍼에서 보리마당까지는 가파른 언덕길로 이어지는데 시화골목길에는 유명 시인들의 시와 더불어 주민들의 각종 시화가 펼쳐진다. 목포인문도시사업단은 2015년부.. 목포를 돌며 2018.03.19
목포 문학관 <김현 전시관> 유물편 김현 유물관. 문학관 옆에 자리한 유물관은 김현 선생이 생전에 사용하시던 유물을 한곳에 모아 두었다. 평소 사용하던 책상과 16비트 컴퓨터와 타자기. 타자기. 터치스크린에서 김현 선생에 대한 회고를 하는 지인들의 모습이 전개된다. 각종 메모수첩과 다기 및 안경 등. 즐겨쓰시던 모자와 각종 소.. 목포 문예계 2011.10.03
목포 문학관 <김현 전시관> 문학편 김현문학상(김현文學像) 박정환·신옥주 부부 조각가 작품. 한국 현대 문학비평의 거목 김현(본명: 김광남(金光南), 1942~1990)의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 그의 고향 목포에 문을 열었다. 지난 9월 30일 오후 2시 전남 목포 용해동 <갓바위 공원>의 목포문학관 2층에 들어선 김현 문학 .. 목포 문예계 2011.10.03
목포문학관 <김현> 전시관 개관식 목포문학관에서 한국 문학평론의 독보적 존재 문학평론가 김현 전시관 개관식 개최. "뛰어난 평론가이자 이론가로서 한국문학비평의 새로운 지평을 연 김현 선생의 전시관이 목포문학관 내에 개설, 개관식 등 다양한 행사 열린다" 한국 문학평론의 새 지평을 연 문학평론가 김현 선생의 전시관 개관.. 목포 문예계 2011.09.29
노적봉 예술공원 종합홍보관 종합홍보관 입구. 목포 노적봉 예술공원 2층에 자리한 종합홍보관은 글자 그대로 목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모든 것을 한 눈에 살펴 볼수 있게 만들어진 홍보관이다. 지난 주 일요일(5월 22일)에 들렸을 때는 관리인이 여자분이었는데 오늘은 남자분이 관리하고 있었다. 정중히 촬영여부.. 목포를 돌며 2011.05.31
[동영상]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에서 녹화한 것입니다.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글, 그림 / 이태원 사랑방. 목포 문예계 2009.11.22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3> 김우진 像. 1926년 8월 4일 김우진은 그와 예술적 애정관계를 맺고 있던 일본 도꾜 우에노 음악학원 출신이자 <死의 찬미>를 불러서 국내외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누렸던 소프라노 가수 윤심덕(尹心悳)과 일본에서 한국으로 향하던 연락선에서 현해탄으로 투신정사(投身情死)하였다. 그때의 도하(都.. 목포 문예계 2009.11.21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2> 김우진 像. 김우진은 1897년 안동 김씨의 후예인 무안 감리를 지낸 김성규(金星圭 1863-193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출생 당시는 부친이 장성 군수로 재임하였으나 11세에 부친이 무안 감리로 부임하면서 목포로 이주했다. 號를 초성(焦星) 또는 수산(水山)이라 하고 목포공립 보통학교(지금의.. 목포 문예계 2009.11.20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1> 수산 김우진. 김우진(金祐鎭, 1897년~1926년) 아호 水山. 한국 극예술의 선구자. 출생지: 전남 장성(11세 목포로 이주) 대표작: <산돼지> <이영녀> <난파> <정오> 등.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당시 군수였던 김성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7년 목포시 북교동 46번지로 이주하여 목포공립보통.. 목포 문예계 2009.11.19
목포 문학관을 둘러보며(2) <목포 문학관> 쉼터에서 바라 본 목포 문학관 본관... 바로 앞에 보이는 소영 박화성 기념비와 그 뒤로 오름길을 따라 가면 여러 문학인들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앞쪽 좌측으로 <문화의 다리> 끝 부분이 보입니다. 자! 이제 슬슬 문학관으로 향해 볼까요? ^^ 목포 문학관으로 오르는 도중에 .. 목포 문예계 2009.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