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4

전북 부안. 부안김씨. 김낙선의사 기적비.

김낙선의사 기적비 전경.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357-3.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낙선(金樂先) 본명: 김낙진(金洛振)본관: 부안김씨. 출생: 1881년 9월 1일.전라도 부안현 상서면 가오리.사망: 1925년 4월 27일.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은 김낙선(金樂先)은 1881년 9월 1일 전라도 부안현(현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우덕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9년 3월 8일 이용서(李用西) 의병장의 휘하에서 총 15정과 도검 1자루로 무장한 의병 30여명과 함께 고부, 부안, 태인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1909년 3월 태인에서 일본군 기병대와 교..

발길을 따라 2025.04.25

전북 김제. '육탄3용사' 故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육탄3용사' 故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주소: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125-1 (금산사 입구) 한국전쟁 때 적진에서 산화한 故 안영권 하사의 전공기념비와 흉상이 고향인 전북 김제 금산사 입구에 세워졌다. 김제 금산면 출신인 안영권 하사는 1952년 10월 12일 백마고지전투에서 TNT, 수류탄, 박격포탄을 몸에 묶고 적진에 뛰어들어 산화한 중 한 명이다. 한국전쟁 최대 격전 중 하나인 이 전투에서 육탄 돌격을 결행한 3용사는 오늘날 '백마3군신'으로 불리고 있다. 김제시 재향군인회는 매년 10월 12일에는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앞에서 산화추모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육탄3용사 고 안영권 하사 전공기념비 안내문. 명예도로 '안영권로' 표지석. 이 달의 6.25 전쟁영웅. 을지무공훈장 안영권 (1..

발길을 따라 2022.12.28

전북 고창. 백관수 선생 고택(白寬洙 先生 古宅) 전북 기념물 제90호.

백관수 선생 고택 전경. 전북 기념물 제90호.(1997. 07. 18)  다녀온 날: 2019년 4월 7일.  전북 고창군 성내면 도덕길 58 (덕산리 44)  백관수 선생 고택(白寬洙 先生 古宅)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근촌(芹村) 백관수(白寬洙) 선생이 태어난 곳입니다.    백관수 선생 고택 안내문.  이 고택은 안채와 사랑채, 곳간채로 구성된 집으로 남부지방 중농(中農)의 가옥 구조를 하고 있으며 3채 모두 초가지붕으로 소박한 느낌을 주는 민가(民家)이면서도 선비의 기품이 묻어납니다. 대숲이 감싸는 완만한 경사지에 석축을 쌓고 안채를 남향으로 배치하였으며,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앞에는 사랑채가 자리한다.  근촌(芹村) 백관수 선생은 독립운동가·정치가로서 1889년에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났으며 ..

문화재 탐방 2019.06.10

전남 보성. 백범 김구선생 은거기념관

백범 김구 은거기념관 전경. 전남 보성군 득량면 삼정리 582 (쇠실마을) 백범 김구선생 은거기념관이 설립된 쇠실마을은 보성에서도 깊은 골짜기에 속한 안동 김씨의 집성마을이다.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의 지도자였던 백범 김구선생이 청년기에 명성황후 시해 사건의 하수인인 쓰치다를 맨손으로 때려죽인 후 체포되어 인천 감영에 있다가 탈옥하여 삼남지역으로 잠행하면서 찾아든 마을이다. 백범은 1898년 여름 무렵 이곳 김광언씨의 집에서 40여일 동안 은거하면서 지역민에게 우리의 역사를 가르치고, 독립의식을 고취하다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 어지럽던 시대의 그의 은거를 도왔던 마을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을 광복 후 1946년 9월 보은의 방문을 하면서 더욱 빛나게 된다. 현재 쇠실마을에는 김구선생을 은거했던 김광언의 집이 ..

발길을 따라 2016.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