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륜당 32

전남 화순. 주자묘(朱子廟)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53호.

연자루(燕字樓)주자묘 입구에서 가장 먼저 대하는 루각이다.     주자묘(朱子廟)   화순군향토문화유산 제53호.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337 (회덕길 14-34)   주자묘(朱子廟)는 주희(朱熹)[1130~1200]를 주향으로 모신 사당이다.  그는 송나라 때 사유학자로, 신유학(성리학)을 집대성하여 주자학의 시조가 되었다. 조선 왕조는 초기부터 성리학을 국정 운영에 적극 도입하였다. 이 사당은 처음에는 신안주씨(新安朱氏) 문중에서 1905년에 영모당(永慕堂)으로 창건하였다가 1978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롭게 재축을 한 것이다. 1978년에 철근 콘크리트조(한옥형)로 새로 건립하였다. 현재 사당 안에는 주자(朱子)의 증손이자 신안주씨의 시조인 청계공 ’주잠(朱潛)을 포함하여 모..

문화재 탐방 2025.02.05

전남 장성.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1985년 2월 25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2길 102. 고려 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394년(태조 3) 북일면 오산리 교촌에 있던 향교를 복원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동현 장안리 장자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이때 진원현이 장성현과 합해짐에 따라 진원리에 있던 진원향교를 없애고, 장성향교에 합치게 되었다. 효종 9년(165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명륜당ㆍ동재ㆍ서재ㆍ대성전ㆍ내삼문 등과 부속건물들이 있다. 경사지에 자리잡은 장성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는 출입문인 ..

문화재 탐방 2024.11.13

전북 군산.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옥구향교(沃溝鄕校)  전북 문화유산자료 제96호.   *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옥구읍 상평리 626)   옥구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1403년(태종 3) 옥구읍 이곡리(耳谷里)에 창건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상평리로 옮겼다가 1646년(인조 23)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경내에 대성전, 명륜당, 문창서원, 자천대 등의 전각이 있고, 부속 건물로 외삼문, 내삼문, 교직사 등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공자를 비롯한 5성, 송(宋) 4현과 한국 18현을 배향하고 있으며, 1984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96호로 지정되었다. 명륜당과 전사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양사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문화재 탐방 2024.10.11

전남 영광.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

영광향교 만화루(萬化樓) 만화루는 향교 입구 마을의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1985.02.25)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교촌리 393  (향교길 32)   향교는 본시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지어진 영광향교는 선조 15년(1582)에 수리되었다.  임진왜란(1592)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복원하였으며, 현재의 건물들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다.  앞쪽에 대성전을 중심으로한 제사공간을 두고, 뒤쪽에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두고 있어, 향교 배치..

문화재 탐방 2024.07.24

전북 군산. 임피향교(臨陂鄕校) 전북 문화재자료 제95호.

임피향교 홍살문. 임피향교(臨陂鄕校) 건립시기: 1403년(태종 3) 전북 문화재자료 제95호. (1984년 4월 1일) 임피향교 대성전(臨陂鄕校 大成殿)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95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임피향교길 46. (임피면 읍내리 538) 요약: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臨陂面)에 있는 朝鮮 前期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내용. 1403년(태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0년(인조 8)에 이전, 중건하였으며, 1710년(숙종 3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고..

문화재 탐방 2024.04.19

전남 나주.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8호.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1985.02.25) *주소: 전남 나주시 교동 32-1번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나주향교는 태조 7년(1398)에 지었으며, 내부에 계성사라는 사당이 있는데 이곳에는 공자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로 인해 향교의 배치방법이 다른 향교와 다르다. 대부분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앞에 두고, 뒤에 제사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계성사가 있기 때문에 대성전과 명륜당의 위치가 바뀐 전묘후학을 따르고 있다. 호남지방의 향교 중 계성사가 있던 다른 향교는 전주향교와 함평향교 등이 있다. 나주향교의 대성전은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갖춘 건물..

문화재 탐방 2024.01.15

전남 나주. 남평향교(南平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6호.

남평향교(南平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주소: 전남 나주시 남평읍 교원리 161-1번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남평향교는 세종 9년(1427)에 동문 밖에 세웠으며, 중종 29년(1534)에 남일리 자고개로 옮겨 인종 1년(1545)에 수리하였다.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3년(1600)에 성균관과 남평 현민들이 협조하여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그 뒤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 외삼문· 내삼문 등이 있다. 경사지에 위치한 남평향교의 외삼문을 들어서면 배움의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 서재가 있고, 뒤쪽의 내삼문을 들어서면 제사공간인 대성전과 동무..

문화재 탐방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