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전남 장성.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백산(栢山) 2024. 11. 13. 05:00

장성향교(長城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5호.
(1985년 2월 25일)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2길 102.
 
 
 

고려 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394년(태조 3) 북일면 오산리 교촌에 있던 향교를 복원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동현 장안리 장자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이때 진원현이 장성현과 합해짐에 따라 진원리에 있던 진원향교를 없애고, 장성향교에 합치게 되었다.
 
효종 9년(165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명륜당ㆍ동재ㆍ서재ㆍ대성전ㆍ내삼문 등과 부속건물들이 있다.
 
경사지에 자리잡은 장성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는 출입문인 외삼문과 학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을 두었다. 그 앞에는 동재, 서재가 있어 배움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뒤쪽 높은 터에는 제사 지내는 공간으로 대성전과 동무ㆍ서무가 있어 향교의 일반적 배치형태인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ㆍ노비ㆍ책 등을 지급 받아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ㆍ가을 2차례에 걸쳐 제사만 지내고 있다. 이곳에 보관되어 있는 책은 이 지방 향토사 연구와 조선후기 향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웹사이트 -

 
 

홍살문(紅箭門)
 
 

비석군(碑石群)
 
 

유림 항일 사적비.
 
 

성균관 유도회 장성군지부
창립 57주년 기념비.
 
 

전 전교 기우대 묘성 공적비.
 
 

외삼문(外三門)
 
향교 외삼문은 잠겨있어 향교 우측 담장을 안고 돌아가면
측문이 열려 있어 그곳으로 출입하였다.
 
 

장성 향교(長城鄕校)  안내문.
 
 

장성향교 안내문.
 
 

명륜당(明倫堂) 뒤쪽
 
향교로 들어서면 명륜당 뒷편이 눈에 들어온다.
 
 

명륜당(明倫堂)
 
 

명륜당(明倫堂)  현판.
 
 

성균관 장성향교 역대 직원 및 전교 명단.
 
 

양사재(養士齋)
 
 

양사재(養士齋) 현판.
 
 

동재(東齋)
 
 

서재(西齋)
 
 

삼강목(三綱木)
 
 

오륜목(五倫木)
 
 

장성향교 계생비( (長城鄕校 繫牲碑)
 
제물로 쓸 가축을 매어놓은 비석이다.

이 계생비는 일반 향교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비석이다.


내삼문(內三門)
 
 

대성전(大成殿)
 
 

대성전.
 
 

동무(東廡)
 
 

서무(西廡)
 
 

화장실과 수도간.
 
 
 
*2024.10.13.

@필독 사항@
*상기 본문과 관련 없는 “단순 인사성 비밀댓글”은
차단 및 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