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대사 5

충남 서산. 간월암(看月庵) 충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서산 간월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소재지: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간월암(看月庵)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암자로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만공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간월암은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뭍과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밀물과 썰물은 6시간마다 바뀌며, 주위 자연경관과 고찰이 어우러져 관광객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간월암에 소장된 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인 목조보살좌상은 양식적으로 볼 때 1600년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작은 삼존불상의 협시보살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에 높이 ..

한국의 사찰 2024.08.30

충남 서산. 충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간월암(看月庵)

서산, 간월암 전경.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2007년 9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간월암은 하루 2차례 밀물과 썰물의 시간에 따라 간월도리에서 썰물시에만 들어갈 수 있다. 방문시에는 사전에 조수시간을 알아보고 가는 게 편리하다. 간월암(看月庵)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암자로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만공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간월암은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뭍과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밀물과 썰물은 6시간마다 바뀌며, 주위 자연경관과 고찰이 어우러져 관광객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간월암에 소장된 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

한국의 사찰 2022.03.23

태조 이성계의 비화 (2)

태조 이성계의 비화 (2) 이성계와 무학. 그리고 걸승(乞僧) 고려 말기. 이성계가 일취월장(日就月將) 승승가도를 달리며, 그 기세가 하루가 멀다하게 강해져 가는 것을 보고 세상의 이목(耳目)이 이성계에게로 쏠리고 있었다. 처음에는 이씨(李氏) 성을 가진 사람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할 것이란 소문을 믿지 않으려 했다가 차츰 날이 갈수록 이씨란 곧 자신을 두고 일컬음을 알고 난 후부터 점차 남모르는 기대감에 부풀게 되었다.  때로는 꿈에서도 일국을 건설하여 용상에 앉아 있는 자신의 의젓함을 보기도 했고, 양이 싸우다 두 개의 뿔이 부러져버린 일이나, 서까래 3개를 짊어지고 나오는 꿈을 꾸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이성계에게 왕이 될지도 모른다는 결정적인 감동을 준 것은 항간에, "목자승저하 목정삼한경(木子乘猪..

전설과 설화 2015.01.30

태조 이성계의 비화 (1)

태조 이성계의 비화 (1) 걸승(乞僧)의 해몽과 금관(金棺)의 이야기.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기까지는 여러 가지 비화가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할아버지 때부터 일기 시작한 명당금관설(明堂金棺設)은 이성계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천도(天道)에 의해 정해져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이성계의 할아버지 이춘(李春)은 그렇게 극빈한 가세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넉넉한 집안도 아니었다.  어느 봄날, 아지랑이 가물거리고 따가운 햇볕에 웬일인지 몸의 마디마디를 풀어내기라도 한 것처럼 나른하게 늘어져 마루에 걸터앉은 채로 꾸벅꾸벅 졸고 있었다. 한참을 졸고 있는데, 귓전에 청천벽력 같은 뇌성이 들려오고 많은 군졸들과 말발굽소리가 밀려오는 것이었다. 깜짝 놀라 눈을 떠보니 삿갓을 푹 내려쓴 걸승(乞僧)이 그의 앞에서 목탁을..

전설과 설화 201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