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형 2

광주광역시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

광주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지역 향약이 처음 시행된 곳,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1990.11.15 지정)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9 (고싸움로 2) *광주지역 향약이 처음 시행된 곳, 부용정(芙蓉亭) 부용정(芙蓉亭)은 고려 말 조선초에 활동한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이 지은 정자로 평야가 펼쳐져 있는 평지에 2단으로 대지를 고른 후 건립되었다. 정자의 이름은 연(蓮)을 꽃 중의 군자(君子)라고 칭송하였던 북송(北宋) 주돈이(周敦 )의 애련설(愛蓮設)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광주지역 향약의 시행장소로 매우 유서가 깊은 곳이다. 또한 그는 이곳에서 이시원(李始元), 노자정(盧自亭) 등과 학문을 논하고 시를 읊기도 하였다. ..

문화재 탐방 2021.12.24

광주광역시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

광주 남구. 부용정(芙蓉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1990.11.15 지정)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9 (고싸움로 2) * 광주지역 향약이 처음 시행된 곳, 부용정(芙蓉亭) 부용정(芙蓉亭)은 고려 말 조선초에 활동한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이 지은 정자로 평야가 펼쳐져 있는 평지에 2단으로 대지를 고른 후 건립되었다. 정자의 이름은 연(蓮)을 꽃 중의 군자(君子)라고 칭송하였던 북송(北宋) 주돈이(周敦 )의 애련설(愛蓮設)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광주지역 향약의 시행장소로 매우 유서가 깊은 곳이다. 또한 그는 이곳에서 이시원(李始元), 노자정(盧自亭) 등과 학문을 논하고 시를 읊기도 하였다. 건물은 정·측면 다같이 3칸으로 기둥머리에 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다..

문화재 탐방 2018.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