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서산동 '시화골목길' 탐방. 서산동에 시화골목길은 영화 1987 촬영지 연희네 슈퍼 앞길에서부터 보리마당으로 통하는 골목길에 조성되었다. 연희네 슈퍼에서 보리마당까지는 가파른 언덕길로 이어지는데 시화골목길에는 유명 시인들의 시와 더불어 주민들의 각종 시화가 펼쳐진다. 목포인문도시사업단은 2015년부.. 목포를 돌며 2018.03.19
목포 문학관 <김현 전시관> 유물편 김현 유물관. 문학관 옆에 자리한 유물관은 김현 선생이 생전에 사용하시던 유물을 한곳에 모아 두었다. 평소 사용하던 책상과 16비트 컴퓨터와 타자기. 타자기. 터치스크린에서 김현 선생에 대한 회고를 하는 지인들의 모습이 전개된다. 각종 메모수첩과 다기 및 안경 등. 즐겨쓰시던 모자와 각종 소.. 목포 문예계 2011.10.03
목포 문학관 <김현 전시관> 문학편 김현문학상(김현文學像) 박정환·신옥주 부부 조각가 작품. 한국 현대 문학비평의 거목 김현(본명: 김광남(金光南), 1942~1990)의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 그의 고향 목포에 문을 열었다. 지난 9월 30일 오후 2시 전남 목포 용해동 <갓바위 공원>의 목포문학관 2층에 들어선 김현 문학 .. 목포 문예계 2011.10.03
목포문학관 <김현> 전시관 개관식 목포문학관에서 한국 문학평론의 독보적 존재 문학평론가 김현 전시관 개관식 개최. "뛰어난 평론가이자 이론가로서 한국문학비평의 새로운 지평을 연 김현 선생의 전시관이 목포문학관 내에 개설, 개관식 등 다양한 행사 열린다" 한국 문학평론의 새 지평을 연 문학평론가 김현 선생의 전시관 개관.. 목포 문예계 2011.09.29
노적봉 예술공원 종합홍보관 종합홍보관 입구. 목포 노적봉 예술공원 2층에 자리한 종합홍보관은 글자 그대로 목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모든 것을 한 눈에 살펴 볼수 있게 만들어진 홍보관이다. 지난 주 일요일(5월 22일)에 들렸을 때는 관리인이 여자분이었는데 오늘은 남자분이 관리하고 있었다. 정중히 촬영여부.. 목포를 돌며 2011.05.31
[동영상] 목포 문학관 <박화성 관> 목포 문학관 <박화성 관>에서 유물전시실과 집필실을 녹화한 것입니다.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글, 그림 / 이태원 사랑방. 목포 문예계 2009.11.17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5> 소영 박화성 像. 생애와 문학실. 생애와 문학 (좌측 부분) 생애와 문학 (우측 부분) 광주 사립여자야학교 교사 시절(1922년 19세 때) 어머니 김운선 여사와 함께 (1925년 22세 때) 목포 정명여학교 전교생. 앞줄 오른쪽 첫번째 다섯살 쯤의 박화성(1907년 무렵) 조 운을 만나 문학 수업을 하던 영광읍 교촌리 영.. 목포 문예계 2009.11.14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4> 소영 박화성. 생활 유품 전시실. 생활 유품실에서 가장 눈길을 머물게 했던 곳은 아들 승산이 인민군에 끌어가며 벗어두고 간 아들 내의와 넥타이를 평생 간직하며 당신이 가실 때 같이 무덤으로 가자는 가슴 아프고 한이 서린 부분을 친필로 메모해둔 대목이었다. 평소 즐겨입던 한복. 신발과 양산 등.. 목포 문예계 2009.11.13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3> 박화성 像. 집필하는 박화성. 개화기에 목포에서 태어난 한국 문학의 선구자 素影 박화성 선생은 개척자의 생애가 그러하듯, 외롭고 어려운 속에서도 끊임없는 도전과 정진으로 우리 문학사에 우뚝 선 선구자요, 선각자였다. 남성위주의 사회에서 여성으로 15세에 소학교 선생으로 교단에 선 것을 비.. 목포 문예계 2009.11.12
목포 문학관 <박화성관 2> 박화성 像. 박화성 활동 및 약력. 활동 및 약력 1904. 4월 16일(음) 박운서와 김운선의 막내딸로 목포에서 출생. 1915. 목포 정명여학교 고등과 졸업. 1918. 숙명여고보 졸업, 천안과 아산의 보통학교에서 교편 잡음. 1922. 영광중학교 교사로 부임. 조운(曺雲) 등 文友들과 문학수업. 1925. 단편 <추석전야>가.. 목포 문예계 200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