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걸 5

전북 고창. 월암서원(月巖書院)

월암서원(月巖書院) 월암서원은 고창읍 월암리에 세워진 현대의 서원으로 보수와 관리가 시급하게 보인다..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255-2 (월암길 75) 월암서원은 1946년 지방 유림에 의해 건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 전기에 활약한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1497~1579), 송은(松隱) 임신번(林信蕃:1494~1567)의 사림정신(士林精神)을 기리기 위해 창건하였다. 월암서원은 정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한 사우(祠宇)가 있다. 신문(神門) 3칸, 강당(講堂) 4칸, 동재(東齋) 4칸, 서재(西齋) 3칸, 교직사(校直舍) 3칸으로 이뤄져 있다. 현곡(玄谷) 유영선(柳永善)이 「봉안문(奉安文)」을 짓고, 행해(杏海) 김노동(金魯東..

발길을 따라 2022.11.28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2013. 11. 11. 지정)  *도래마을 입구에서 수련지 건너편 좌측으로는 양벽정이그리고 우측으로는 영호정이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풍산리 14)  영호정(永護亭)은 조선 중기에 이조판서, 대사헌,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청백리로 뽑혔던 휴암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조선 중종 시 남평현감으로 재직할 때(1541~1545) 고을에 학문을 장려하고 백성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4곳(동서남북)의 학당 중 하나로 당시 명칭은 도천학당(道川學堂) 또는 동학당(動學堂)이라 하였으며 역사를 전승한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건립 당시 최홍(崔泓), 최엄(崔嚴) 등이 교수를 맡아 "백록동 규약(白鹿洞 規約)"과..

문화재 탐방 2021.07.16

전북 고창. 덕산사(德山祠)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고창. 덕산사(德山祠)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관리번호: 51-1-24.지정: 2003년 5월 30일.관리자: 흥덕향교.  추모대상.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 1896~1934)갑운(甲雲) 백인수(白麟洙, 1856~1910) 근촌(芹村) 백관수(白寬洙, 1889~1951)     전북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 43-2 (도덕길 68)    덕산사는 이 고장 출신 독립유공자 백정기, 백인수, 백관수를 추모하기 위하여 1947년 건립되어 1995년 재건되었다.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는 1896년 전남 부안군 동진면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같은 해 8월 동지 4명과 함께 인천에 있는 일본군 시설물을 파괴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되자 만주로 피신하였다.  ..

문화재 탐방 2019.12.04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2013. 11. 11)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영호정(永護亭)은 조선 중종 때 남평현감으로 부임한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 1497~1579 / 在任 1541~1545)이 남평현의 학문을 진작시카고 백성들을 가르치기 위해 남평현 내에 설립한 4개 학당 중 하나인 도천학당(道川學堂: 動學堂)의 역사를 전승한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건립 당시 최홍(崔泓), 최엄(崔嚴) 등이 교수를 맡아 "백록동 규약(白鹿洞 規約)"과 "람전 향약(藍田 鄕約)"에 의한 엄한 과정을 만들어 시행하여 마을 풍속을 순화하고 많은 선비들이 공부하였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화재를 입었고, 1900년 도천학당의 한쪽 편액을 영호(永護)로 바꾸고 영호정을 건..

문화재 탐방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