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4

정월 설날과 차례상 표준화 방안.

정월 설날.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고전 사랑방 2025.01.28

추석을 풍요롭고 넉넉하게...

백산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블로거 여러분.우리 고유 명절 추석을 가족과 함께 풍요롭고 넉넉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귀성과 귀경길에 안전운전하시고 항상 건강하십시오.  백산(栢山) 배상.   성균관의 차례상 표준화 방안.  차례상 표준화 방안. 표준안에 따르면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가지 수가 적어도 상관없고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질문> 전통 제례의 격식을 떠나 고인의 살아생전에 즐겨 드시던 밥과 김치, 토마토, 과자 등으로 차례상을 차려드리고 싶습니다. 예법이나 격식은 어떤가요? 답변>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 (사계 김장생) 보면 ‘살..

자유 게시판 2024.09.15

정월 설날과 차례상 표준화 방안.

정월 설날.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

고전 사랑방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