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사 기우만 3

전남 영광. 송촌사(松村祠) 전남 문화재자료 제283호.

송촌사(松村祠)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3호. (지정: 2017.08.24.)  대한제국기 의병장 기우만(奇宇萬)이 비문을 지은 조선시대 충절인물(김사모, 김억명, 김억룡, 김익호)의 사우인 송촌사의 유허비로 근대기(1908년)의 금석문 자료로 가치가 있다.   *주소: 전남 영광군 군서면 만금리 471-4 (성지로 497)     송촌사 외삼문.   영광 송촌사 유허비와 고문서 안내문.  영광 송촌사는 임진왜란 당시 순국하신 충절을 추모하여 조선 철종조(1757년)때에 사우를 창건하여 제향해 오던 중 고종8년(1871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향중유림의 발의에 의해 사우를 복건하였다.  송촌사 유허비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순국한 모재공 김사모와 그의 세 아들(김억명, 김억룡, 김익호..

문화재 탐방 2024.07.31

광주광역시 광산. 만취정(晩翠亭)

만취정(晩翠亭) 전경.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6호.광주 광산구 본량본촌길 29 (동호동) 조선 말 감역(監役)을 지낸 이 마을 출신의 학자 만취(晩翠) 심원표(沈遠杓:1853~1939)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1913년에 지은 정자이다. 심원표는 한말에 감역관(監役官)을 지내기도 했고, 일본이 주는 은사금(恩賜金)을 거부하고 고향에 은둔해 강학과 효도로써 한 평생을 마쳤다.정면 처마 끝에는 해강 김규진과 석촌 윤용구가 쓴 만취정(晩翠亭) 편액 2개가 걸려 있다. 또 정자 안에는 "나의 씨족인 심씨의 본관이 청송(靑松)으로 되어 있고 또 솔(松)이라는 나무가 언제나 울창하여 겨울 추위에도 그의 푸름을 잃지 않는 높은 절개를 갖고 잇다. 이 정자를 남쪽에 지어 '만취(晩翠)'라 한 것은 소나무의 이러한 ..

문화재 탐방 2015.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