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마당 3

전남 보성. 이식래 가옥(李湜來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0호.

보성 이식래 가옥(寶城 李湜來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0호.(1984.01.14)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414번지.  (전남 보성군 득량면 강골길 34-9)   사랑마당 서쪽에는 행랑채가 있고, 사랑채 뒤에 안채가 있으며, 안마당의 서쪽에 곳간채가 있다. 동쪽에는 이용욱씨 집 곳간채가 등지고 있어서 장독대만을 배치하였다. 남아있는 기록으로 보아 1891년에 지었음을 알 수 있으나 각각의 건물이 지어진 연대는 서로 다른 것으로 보인다. 안채, 사랑채, 곳간채가 ㄷ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집이다. 안채는 초가집으로 서쪽부터 툇마루가 있고 그 옆의 앞쪽에는 작은방, 뒤쪽에는 뒷방이 있다. 옆에는 대청, 큰방이 있는데 방 뒤쪽 아래에는 아궁이, 위에는 다락을 만들었다. 대청과 큰방 앞에는 툇마루가 있고..

문화재 탐방 2017.01.11

전남 보성. 이용욱 가옥(李容郁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59호.

보성 이용욱 가옥(李容郁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59호.(1984.01.14) 전남 보성군 보성읍 득량면 오봉리 243.(전남 보성군 득량면 강골길 34-6)    강골마을에서 가장 아름답고 들어가는 곳에 자리잡은 건물로 비교적 넓은 평야에 인접하여 있고, 해안과도 가까운 지역이어서 풍수지리상 터가 좋은 곳이다. 안채, 사랑채, 곳간채, 문간채가 규모 있게 구성되어 있는 집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왼쪽으로 곳간채와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맞대고 있다.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간채는 사랑채 서쪽에 있으며, 안마당 서쪽에는 곳간채가 있고, 동쪽에는 아래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마당과 사랑마당은 중문간을 통하지 않으면 출입하지 못하도록 나누어져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보성 이용욱 가옥 안내문.   목포에서 ..

문화재 탐방 2017.01.10

전남 보성. 문형식 가옥(文瀅植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6호.

문형식 가옥(文瀅植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6호.(1984.01.14) 전남 보성군 율어면 진천길 34-15.  1890∼190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안채, 사랑채, 아래채로 구성된 남도 내륙지방의 특성을 많이 갖춘 집이다. 자연이 아름다운 곳에 안채가 자리하고 있고, 맞은편에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마당 동쪽에 몇 개의 계단을 올라가면 아랫마당과 아래채가 서향하여 있는데 이곳은 원래 사당이었다고 한다. 안마당의 서쪽에는 최근에 지은 헛간이 있다. 안채는 '一'자형 집으로 남도지방 형식을 따르고 있다. 동쪽부터 작은방·2칸의 대청·큰방·부엌이 있다. 큰방부터 작은방까지는 툇마루를 설치하였고, 작은방 앞은 아궁이를 만들기 위해서 약간 높은 마루를 놓았다. 대청과 툇마루 사이에는 문이 있는데 이것은..

문화재 탐방 2016.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