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정 5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2013. 11. 11. 지정)  *도래마을 입구에서 수련지 건너편 좌측으로는 양벽정이그리고 우측으로는 영호정이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풍산리 14)  영호정(永護亭)은 조선 중기에 이조판서, 대사헌,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청백리로 뽑혔던 휴암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조선 중종 시 남평현감으로 재직할 때(1541~1545) 고을에 학문을 장려하고 백성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4곳(동서남북)의 학당 중 하나로 당시 명칭은 도천학당(道川學堂) 또는 동학당(動學堂)이라 하였으며 역사를 전승한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건립 당시 최홍(崔泓), 최엄(崔嚴) 등이 교수를 맡아 "백록동 규약(白鹿洞 規約)"과..

문화재 탐방 2021.07.16

전남 나주. 풍산홍씨 집성촌. 도래마을

도래마을. (풍산홍씨 씨족마을)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199 (동력길 16) 도래마을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茶道面) 풍산리(楓山里)에 위치한 한옥마을로써 풍산홍씨의 씨족마을이다. 마을 뒷산인 감태봉의 계곡에서 내려온 물이 세 갈래로 나뉘어 흘러 마을을 통과하는데, 세 물줄기를 따라 마을이 세 갈래로 갈라져 '내 천(川)'자 형국을 이루고 있다 하여 도천(道川)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도천의 '천(川)'의 우리말이 '내'이므로 이후 '도내'가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음하기 쉽도록 '도래'로 변하게 된 것이라 전해진다. 마을은 1480년경부터 형성되어 본래 문씨, 김씨, 최씨 등이 살고 있었으나, 조선 중종 때 풍산홍씨 홍한의가 기묘사화를 피해서 이곳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을 이뤘다고 합니다..

발길을 따라 2021.07.12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2013. 11. 11)  영호정은 조선 중종 때 휴암 백인걸이 세웠으며 도래마을 들머리에 있으며 길 건너편에는 양벽정이 자리하고 있다.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영호정(永護亭)   영호정 안내문.  영호정(永護亭)은 조선 중기에 이조판서, 대사헌, 공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청백리로 뽑혔던 휴암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조선 중종 시 남평현감으로 재직할 때(1541~1545) 고을에 학문을 장려하고 백성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운 4곳(동서남북)의 학당 중 하나로 당시 명칭은 도천학당(道川學堂) 또는 동학당(動學堂)이라 하였으며 역사를 전승한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건립 당시 최홍(崔泓), 최엄(崔嚴) 등이 교수를 맡아 "..

문화재 탐방 2019.08.17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2013. 11. 11)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영호정(永護亭)은 조선 중종 때 남평현감으로 부임한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 1497~1579 / 在任 1541~1545)이 남평현의 학문을 진작시카고 백성들을 가르치기 위해 남평현 내에 설립한 4개 학당 중 하나인 도천학당(道川學堂: 動學堂)의 역사를 전승한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 건립 당시 최홍(崔泓), 최엄(崔嚴) 등이 교수를 맡아 "백록동 규약(白鹿洞 規約)"과 "람전 향약(藍田 鄕約)"에 의한 엄한 과정을 만들어 시행하여 마을 풍속을 순화하고 많은 선비들이 공부하였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화재를 입었고, 1900년 도천학당의 한쪽 편액을 영호(永護)로 바꾸고 영호정을 건..

문화재 탐방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