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봉 백광훈 4

전남 장흥. 기양사(岐陽祠) 선시보주(選詩補註) 전남 유형문화재 제207호.

기산리 동계마을 앞에 세워진 기양사 이정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7호.(지정: 1999년 2월 2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65 (동계길 33-26)   관서별곡의 백광홍을 배향한 기양사(岐陽祠)!  장흥 사자산 아래의 세 마을은 기산마을, 동계마을, 비동마을. 그 중 가운데에 있는 동계마을에는 기양사(岐陽祠)라는 사원이 있다. 이곳은 가사문학으로 널리 알려진 담양의 소쇄원에 버금가는 의미를 가진 곳이다.  조선 8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가사문학의 효시인 관서별곡을 남기는 등 가사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기봉 백광홍(1522~1556)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기양사(岐陽祠) 그동안 가사문학이라고 하면 관동별곡을 떠올렸고, 송강 정철을 떠올렸다.  그러나 백광홍 선생의 관서별곡은 송강 ..

문화재 탐방 2019.10.11

전남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옥산서실(玉山書室) 전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1991.07.19) 옥산서실(옥봉사)은 옥봉 백광훈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우이다.  다녀온 날: 2019년 7월 17일.  전남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129 (송산길 37-9)    옥산서실 외삼문.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인 옥봉 백광훈(1537∼1582)과 그의 아들인 송호 백진남(1564∼1618) 등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로, 옥봉유물관에 모두 모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그 가운데 9종 113점이다. 지정된 유물을 보면 『백광훈교첩』, 유학백진남백패, 『옥봉집』, 『가장필적』, 『장서동수창록』, 백옥봉 목판, 한석봉서증백진사 목판, 『옥봉집』목판, 영여 등이 있다. 『옥봉집』은 백광훈의 시문을 보아 백진남이 간행한 것이며..

문화재 탐방 2019.07.26

전남 장흥. 부춘정(富春亭) 전남 기념물 제67호.

장흥. 부춘정(富春亭) 근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67호.(1985.02.15)   전남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부춘리)    부춘정(富春亭)은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때 혁혁한 공(功)을 세운 남평문씨 문희개(文希凱)가 정유재란이 가라앉은 뒤에 향리에 돌아와 세운 것으로 창건 당시에는 청영정(淸穎亭)이라 불렀다.  문희개(文希凱)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한 바 있으며 정유재란 때에는 고창현감으로 성(城)을 지켜 공(功)을 세운바 있다. 이 청영정을 1838년(헌종 4년)경에 청풍김씨의 후손 김기성(金基成)이 사들여 오늘과 같은 정면3칸, 측면2칸의 2실(室)이 있는 팔작집으로 개축하고 이름도 부춘정(富春亭)으로 고친 듯하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2칸의 온돌방..

문화재 탐방 2019.01.28

전남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남 유형문화재 제181호.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1991.07.19)  전남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129 (송산길 37-9)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인 옥봉 백광훈(1537∼1582)과 그의 아들인 송호 백진남(1564∼1618) 등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로, 옥봉유물관에 모두 모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그 가운데 9종 113점이다. 백광훈은 최경창, 이달과 함께 3당 시인으로 불리었으며, 조선 8대 문장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아들인 백진남은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의 휘하에서 전쟁에 참가하였다. 지정된 유물을 보면 『백광훈교첩』, 유학백진남백패, 『옥봉집』, 『가장필적』, 『장서동수창록』, 백옥봉 목판, 한석봉서증백진사 목판, 『옥봉집』목판, 영여 등이 있다. 『옥봉집』은 백..

문화재 탐방 20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