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장산성 5

전남 진도. 진도역사관(珍島歷史館)

진도역사관(珍島歷史館) 소재지: 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61 (운림산방 옆)    진도역사관은 2003년 10월 31일 개관하여 진도의 역사와 민속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으로, 선사시대 이래 진도 지역 고유의 역사유물을 보존 및 전시하고, 진도의 민속과 자연환경 등을 소개하기 위하여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로 나뉘어 있습니다. 한켠에는 금봉 박행보의 금봉화실이 꾸며져 있다.     진도역사관 입구.  진도 역사 개관.  선사. 고대실.  고인돌.  삼별초 항쟁관.   삼별초 개관.  행궁터.  용장산성.    남도진성.  명량대첩의 조선 무기.       조선시대 형구.    조선시대 진도.  향토문화실.  각종 옹기류.  농기구류.  베틀.  농기구.  금봉 박행보의 금봉화실.  금봉 박행보 약..

발길을 따라 2024.10.07

전남 진도. 용장사(龍藏寺) 유형문화재 제17호.

용장사 도량에 세워진 오층 석탑과 석등.뒤로 용장사 대웅전(극락전)이 보인다.  용장사(龍藏寺) *소재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산90.   고려 무신정권 때의 장수 배중손(裵仲孫 ?~1271)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진도 용장산성(龍藏山城, 사적 제126호) 내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용장사(龍藏寺)의 터이다. 용장산성의 건물 터 초석의 형식 등으로 보아 삼별초가 이곳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용장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용장성 성내에 용장사지(龍藏寺址)와 행궁지(行宮址)가 남아 있다.*  1756년(영조 32) 김몽규(金夢奎 1694~1775)가 편찬한 진도군 읍지인 와 를 근거로 용장사는 고려 태조 때의 후진국(後晋國) 고왕(高王, 재위 936~943) 때 또는..

한국의 사찰 2024.09.11

전남 진도. 용장성 홍보관 & 용장성(龍藏城) 국가지정 사적 제126호.

진도, 용장성 홍보관. 2013년 이전에는 용장산성이라 표기했었는데 근래에 용장성으로 바뀌었습니다. *소재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92 (용장리 106) 홍보관 영상실. 용장성에 관한 내용의 홍보. 전시실. 13세기로의 여행. 삼별초의 탄생. 삼별초 대몽항쟁의 의의. 1270년 한반도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여몽연합군의 삼별초 공세의 상상도. 여몽연합군의 공세. 진도에 남겨진 것. 유적지. 그 남겨진 흔적들.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일대 용장성 조감도. 남도석성 유적지. 전남문화재 사적 제127호.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294번지. *본 블로그 참조. 온왕릉과 금갑진성. 왕 온의 묘. 전남기념물 제126호. 전남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산45번지. *본 블로그 참조. 복제품, 귀면와. 복..

문화재 탐방 2024.09.09

전남 진도. 용장산성(龍藏山城) 국가지정 사적 제126호.

고려항몽충혼탑 전경.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92 (용장리 106)    진도 용장산성(龍藏山城) 지 정 일 : 1964년 6월 10일. 지정번호 : 국가지정 사적 제126호. 규     모 : 산성일원 (19,921㎡) 관 리 자 : 진도군. 소 재 지 :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92 (용장리 106) 안내번호 : 061-540-3084.   진도 동북방의 벽파 나루와 서낭산의 주변에 솟은 산지와 안부(鞍部)를 따라 연장 12km이상의 거대한 도성지가 있다. 용장리와 벽파리의 거의 전체를 감싼 고려 시대의 석축과 토축으로 된 나성(羅城) 형식의 산성으로, 현재 해발 264m의 용장산 좌우의 능선을 따라 약간씩의 석축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고, 성내에 용장사지(龍藏寺址)와 행궁지(行宮址)가 남아 ..

문화재 탐방 201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