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장성 4

전남 진도. 운림 삼별초공원.

운림 삼별초공원 안내도. 안내번호 : 061-543-2002. *소재지: 진도군 의신면 의신사천길 15-21. (농어촌 테마공원) 운림 삼별초공원은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첨찰산과 한국남종 문인화의 성지인 운림산방 자락에 사천리가 보유하고 있는 또 하나의 자원인 13세기 몽고와 맞서 싸웠던 삼별초를 테마로 조성한 전국 최초의 공원으로 휴양, 레저,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삼별초 안내문. ※ 삼별초. 고려무신정권의 특수부대로 1219년(고종 6년) 최우가 정치적 권력을 탄탄히 할 목적으로 도적예방 등 치안유지 명분을 내세워 야별초를 만들었으며, 그 숫자가 많아지자 좌별초, 우별초로 나누고 후에 몽고군에서 탈출해온 신의군을 통합, 삼별초라 칭했다. 삼별초는 몽고의 잦은 침략에 맞서 전투의 임무도 수행하..

발길을 따라 2024.09.23

전남 진도. 용장성 홍보관 & 용장성(龍藏城) 국가지정 사적 제126호.

진도, 용장성 홍보관. 2013년 이전에는 용장산성이라 표기했었는데 근래에 용장성으로 바뀌었습니다. *소재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92 (용장리 106) 홍보관 영상실. 용장성에 관한 내용의 홍보. 전시실. 13세기로의 여행. 삼별초의 탄생. 삼별초 대몽항쟁의 의의. 1270년 한반도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여몽연합군의 삼별초 공세의 상상도. 여몽연합군의 공세. 진도에 남겨진 것. 유적지. 그 남겨진 흔적들.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일대 용장성 조감도. 남도석성 유적지. 전남문화재 사적 제127호.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294번지. *본 블로그 참조. 온왕릉과 금갑진성. 왕 온의 묘. 전남기념물 제126호. 전남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산45번지. *본 블로그 참조. 복제품, 귀면와. 복..

문화재 탐방 2024.09.09

전남 진도. 윤고산 사당 & 고산둑.

고산둑 윤고산 사당 표지판.  *소재지: 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대로 4212 (백동리 15-9)   이 장소에는 본시 윤고산 사당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굴포리 고산사당에 이 마을 출신 동양화가인 백포 곽남배 선생의 주선으로 지역민들에 의해 배중손의 사당과 동상이 세워진다. 고로 윤선도 선생 사당과 배중손 동상과 사당이 동거하게 된다. 이곳에 배중손 사당과 동상이 세워지게 된 연유는 배중손은 진도를 무대로 대몽항쟁을 벌였던 삼별초군의 장수로 여몽연합군에 의해 삼별초군의 중심 거점인 용장산성이 무너지고 쫓기는 몸이 되는데, 이중 김통정은 금갑진을 거쳐 제주도로 가지만, 임회면 방면으로 패주를 하던 배중손 무리는 이곳 남도포와 굴포의 뻘밭에서 완전 섬멸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를 기리고자 하여 배중손 사당을..

발길을 따라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