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 5

전남 영암. 문화류씨. 죽봉사(竹峰祠)

죽봉사 표석비. 죽봉사(竹峰祠)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에 있는 영팔정과 죽봉사는 문화류씨(文化柳氏) 문중의 사우(祠宇)이다.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403번지(영팔정 뒤편) 죽봉사(竹峰祠)는 1729년(영조 5)에 건립된 문화류씨(文化柳氏) 문중의 사우(祠宇)이다. 배향하는 인물은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말년에 향촌에서 향촌민 교화에 힘쓴 사교당(四矯堂) 유준(柳浚:1584~1661)과 영의정을 역임한 약재(約齋) 유상운(柳尙運:1636~1707)이다. 향촌민 교화에 힘쓴 유준을 기리기 위해 향촌민들과 문인들이 1665년(현종 6)에 단을 세워 제향하다가 1729년에 죽봉사를 창건하였다. 이때 유준의 손자인 유상운도 같이 배향하였다. 죽봉사는 1868년(고종 5)에 서원 훼철령으로 훼철된 ..

발길을 따라 2021.06.14

전남 영암. 문화류씨. 영팔정(詠八亭) 전남 기념물 제105호.

영암. 영팔정(詠八亭) 문화류씨 정자. 전라남도 기념물 제105호. (1987. 01. 15.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403번지. 영팔정(詠八亭)은 조선초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한 하정(夏亭) 유관(柳寬: 1346∼1433)이 모산리의 주위 경치에 감탄하여 세거지로 택하고 아들 맹문(孟聞)에게 명하여 조선 태종 6년(1406)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모산리의 '茅'자와 호인 하정의 '亭'자를 따서 '茅亭'이라고 불렀으나, 훗날 율곡 이이·고경명·남이공·유상운 등이 주변경관을 팔영시(八詠詩)로 읊어서 '영팔정'으로 바뀌었다. 숙종 15년(1689)에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이 건물을 고친 것 외에는 수리한 내력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정자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

문화재 탐방 2021.06.11

전남 영암. 영팔정(詠八亭) 전남 기념물 제105호.

영암. 영팔정(詠八亭) 전라남도 기념물 제105호.(1987.01.15)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403번지.    영팔정은 현판이 2개이다.  영팔정(詠八亭)은 조선초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한 하정(夏亭) 유관(柳寬: 1346∼1433)이 모산리의 주위 경치에 감탄하여 세거지로 택하고 아들 맹문(孟聞)에게 명하여 조선 태종 6년(1406)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모산리의 '茅'자와 호인 하정의 '亭'자를 따서 '茅亭'이라고 불렀으나, 훗날 율곡 이이·고경명·남이공·유상운 등이 주변경관을 팔영시(八詠詩)로 읊어서 '영팔정'으로 바뀌었다. 숙종 15년(1689)에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이 건물을 고친 것 외에는 수리한 내력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정자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문화재 탐방 2018.10.01

전남 영암. 영팔정(詠八亭)

영암 영팔정(詠八亭)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105호.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403번지.   영팔정(詠八亭)은 조선초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한 하정(夏亭) 유관(柳寬: 1346∼1433)이 모산리의 주위 경치에 감탄하여 세거지로 택하고 아들 맹문(孟聞)에게 명하여 조선 태종 6년(1406)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모산리의 '矛'자와 호인 하정의 '亭'자를 따서 '矛亭'이라고 불렀으나, 훗날 율곡 이이· 고경명· 남이공· 유상운 등이 주변경관을 팔영시(八詠詩)로 읊어서 '영팔정'으로 바뀌었다. 숙종 15년(1689)에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이 건물을 고친 것 외에는 수리한 내력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정자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내..

문화재 탐방 201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