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 10

충남 홍성. 동주최씨. 기봉사(奇峰祠) 최영 장군 사당.

최영장군 사당(祠堂) - 기봉사(奇峰祠)  *소재지: 충남 홍성군 홍북면 대인리 산39-7번지.  【최영(崔塋, 1316~1388)】고려의 명장ㆍ재상.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 유청의 5세손, 사헌규정 원직의 아들로 홍주 적동(현재 홍성 홍북 노은리)에서 탄생. 1352년(공민왕 1)에 조일신의 난을 평정. 1358년 배 400척으로 오예포에 침입한 왜구를 복병을 이용하여 격파. 1359년 홍건적 4만 명이 침입하여 서경을 함락시키자, 적을 무찔렀다.  1361년에 홍건적 10만이 다시 침입하여 개성을 함락시키자, 이듬해 안우ㆍ이방실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여 개성을 수복. 1367년(우왕 2) 왜구가 연산 개태사에 침입하자, 늙은 몸으로 출정하기를 자원하여 홍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러 그 공으로 철원..

발길을 따라 2024.08.28

전남 영광. 묘장영당(畝長影堂) 전남 문화재자료 제249호.

영광. 묘장영당(靈光. 畝長影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9호 (2004년 2월 13일)  묘장서원(畝長書院) 또는 영당사(影堂祠)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의 개국공신인 양도공 이천우(李天祐 1354∼1417)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1616년에 건립되었다.    *주소: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동삼로 1길 21.    영광 묘장영당 안내문.  조선조 태종은 1416년 이천우가 퇴직할 때 그 공적을 치하하여 화공으로 하여금 이천우의 화상(畵像)과 이응도(二鷹圖)를 그리게 했는데 그것이 후에 묘장영당을 건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서, 여말선초의 격동기에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황산대첩 등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조선 개국을 도왔으며, 두 차례의 왕자..

문화재 탐방 2024.08.05

전남 영광.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22호.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2호.1987.06.01.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카인 양도공 이천우와 전주이씨 양도공파의 종가이다.   *주소: 전남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 (영양리 567-1)       영광 이규헌 가옥 안내문.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은 500여년이나 된 옛 집터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가옥이다. 처음으로 이곳에 정착한 이효상(李孝常)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조카이며 개국공신인 이천우(李天祐)의 증손이다.  또한 이 집은 20대가 지나도록 살고 있는 전주이씨(全州李氏) 양도공파(襄度公派)의 종가집이기도 하다. 특히 임진왜란시 영광 수성도별장(守城都別將)이었던 이응종(李應鍾)의 생가이며 숙종 때 이상호(李相虎)의 지극한 효..

문화재 탐방 2024.08.02

전남 나주.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8호.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1985.02.25) *주소: 전남 나주시 교동 32-1번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나주향교는 태조 7년(1398)에 지었으며, 내부에 계성사라는 사당이 있는데 이곳에는 공자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로 인해 향교의 배치방법이 다른 향교와 다르다. 대부분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앞에 두고, 뒤에 제사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계성사가 있기 때문에 대성전과 명륜당의 위치가 바뀐 전묘후학을 따르고 있다. 호남지방의 향교 중 계성사가 있던 다른 향교는 전주향교와 함평향교 등이 있다. 나주향교의 대성전은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갖춘 건물..

문화재 탐방 2024.01.15

전남 영암. 전주이씨. 소호사(蘇湖祠)

소호사(蘇湖祠) 전주이씨 사우. *소재지: 전남 영암군 서호면 성재리 625 (서호로 881-5) 영암군 서호면 성재리는 풍수지리학적으로 성인이 태어날 명당지라 하여 성재(聖才) 또는 성재동(聖才洞)이라 하였다. 성재마을에는 전주이씨 문중의 집회소로 쓰이기 위해 1919년에 지은 취모재(翠慕齋)가 자리하고 있다. 1992년에 삼문, 1994년에 취모재를 중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암에 거주한 전주이씨 문중 재실 겸 집회소로 근대기의 향촌사를 알 수 있다. 취모재에서는 출판 활동도 이루어져 1936년에는 이병태(李炳兌)의 주도로 전주이씨 완창대군파보(全州李氏完昌大君派譜)가 간행되었다. 현재 취모재는 전주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는데, 건물의 보존 관리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문화재로는 전주이씨..

발길을 따라 2023.09.20

전북 남원.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 사적 제104호.

남원 황산대첩비지 전경.  사적 제104호 황산대첩비.(1963. 01.20. 지정)  ▶소재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 341 (가산화수길 84)  고려말 이성계가 삼남을 휩쓸며 약탈을 일삼는 왜구를 크게 물리친 것을 기념하기 위해 화수산 남쪽에 1577년 세워졌다. 선조의 왕명을 받아 김귀영(金貴榮)의 글, 송인(宋寅)의 글씨로 대첩비를 세웠으나 일제말 조선총독부가 파괴하였다. 광복 후 옛 비석을 복구하였다가 1972년 신석호가 한글로 글을 지어 새롭게 세웠다. 왜구의 침탈에 맞서 우리 선조들이 꿋꿋하게 일구어낸 역사의 향취가 물씬 풍기는 곳이다. 왜구는 계속하여 다음 달인 9월 남원 운봉현(雲峰縣)을 방화하고, 인월역(引月驛: 지금의 남원 인월리)에 주둔하면서 장차 북상하겠다고 하여 조정을 놀라..

문화재 탐방 2021.05.14

전남 영광. 묘장영당(畝長影堂)

영광 묘장영당(靈光 畝長影堂)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9호.  전남 영광군 묘량면 운당리 영당마을 1002호. 묘장서원(畝長書院) 또는 영당사(影堂祠)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의 개국공신인 양도공 이천우(李天祐 1354∼1417)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1616년에 건립되었다.    외삼문(外三門) 정의문(正義門)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장서원(畝長書院) 편액.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정비(廟庭碑)   내삼문(內三門) 계명문(啓明門)  영당사(影堂祠)조선조 태종은 1416년 이천우가 퇴직할 때 그 공적을 치하하여 화공으로 하여금 이천우의 화상(畵像)과 이응도(二鷹圖)를 그리게 했는데 그것이 후에 묘장영당을 건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문화재 탐방 2016.02.17

태조 이성계의 비화 (1)

태조 이성계의 비화 (1) 걸승(乞僧)의 해몽과 금관(金棺)의 이야기.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기까지는 여러 가지 비화가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할아버지 때부터 일기 시작한 명당금관설(明堂金棺設)은 이성계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천도(天道)에 의해 정해져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이성계의 할아버지 이춘(李春)은 그렇게 극빈한 가세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넉넉한 집안도 아니었다.  어느 봄날, 아지랑이 가물거리고 따가운 햇볕에 웬일인지 몸의 마디마디를 풀어내기라도 한 것처럼 나른하게 늘어져 마루에 걸터앉은 채로 꾸벅꾸벅 졸고 있었다. 한참을 졸고 있는데, 귓전에 청천벽력 같은 뇌성이 들려오고 많은 군졸들과 말발굽소리가 밀려오는 것이었다. 깜짝 놀라 눈을 떠보니 삿갓을 푹 내려쓴 걸승(乞僧)이 그의 앞에서 목탁을..

전설과 설화 2015.01.29

전남 나주. 동점문(東漸門) 사적 제337호.

나주읍성 동문 전경(동점문:東漸門) 사적 제337호.  *주소: 전남 나주시 중앙동 126-8.    나주읍성(羅州邑城) 동점문(東漸門)에 대한 기록은 1910년대까지 남아 있었으나 일제에 의해 훼손되었던 동점문(東漸門: 東門)을 나주시는 2004년 1월 15일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10월 19일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루각(樓閣)으로 복원시켰다.   동점문(東漸門)은 나주읍성의 4대문의 하나이며 나주읍성은 고려시대에 축성된 전라도의 대표적인 읍성이며 서울의 도성(都城)과 같이 동서남북 4대문과 객사 동헌 등 각종 시설을 갖춘 석성(石城)으로 둘레는 3.7km 면적은 974.394m2에 이른다.   나주읍성을 나주의 작은 서울이라고도 불러서 소경(小京)이라고도 합니다.  특히 나주는 고려시..

문화재 탐방 201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