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극인 3

전남 영광. 도동리 홍교(虹橋) 전남 문화재자료 제190호.

영광 도동리 홍교 (靈光 道東里 虹橋)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90호.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2길 9-17 (도동리) 이 홍교(虹橋)는 조선 성종 때 불교를 배척하였던 정극인(丁克仁, 1401~1481. 문신)의 공(功)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다리라고 전한다. 실제 다리는 옛 성이 있었을 당시 나주와 함평 등지에서 영광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있었으나, 현재는 본래 모습이 훼손된 채 논밭으로 가는 샛길과 하천 옆길을 잇는 다리로 쓰이고 있다. 다리는 양끝이 처지고 가운데는 무지개처럼 둥글게 굽은 구조로 되어있다. 13개의 넓적한 돌을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로 견고하게 쌓아올린 모습이나, 9개의 부재로 구성된 것처럼 보인다. 인위적이고 세련되던 다른 홍교와는 달리, 꾸미지 않은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문화재 탐방 2024.08.09

전남 신안. 압해정씨 기념탑 & 도선산 묘.

압해정씨 기념탑. 소재지: 전남 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965-2. 기념탑 건립은 압해정씨 세적비에 2021년 4월로 되어있다. 압해정씨 세적비(押海丁氏 世跡碑) 압해정씨(押海丁氏)의 도시조(都始祖)인 정덕성(丁德盛)은 원래 중국 당(唐)나라 사람으로 문종(文宗) 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武宗) 때 대양군(大陽君)에 봉해졌으며, 선종(宣宗) 때 군국사(軍國事)로 바른말을 간언하다 853년 전라남도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왔다. 그 후에 사면되었으나 돌아가지 않고 신라에 귀화하여 한국 정씨(丁氏)의 시조가 되었다. 압해정씨는 후대에 나주정씨, 영광정씨, 의성정씨, 창원정씨로 분관되었으나 모두 같은 뿌리를 두고 있어 다시 압해정씨로 통합되어 부른다. 인물로는 정극인(丁克仁:1401~1481..

발길을 따라 2022.04.20

전북 정읍.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武城書院)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 홍살문.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1968.12.19 지정)  201년 7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곳으로한국에서 14번째로 지정된 1,100년의 역사를 품은 곳입니다.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원촌1길 44-12)      무성서원(武城書院) 전경. 외삼문 역할을 하는 현가루(絃歌樓)가 정면에 자리하고 있다.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무성서원 표지판과 각종 공적비.   공적비 비림. 우측에서 두번째 비석은 흥선대원군의 형인 '이최응 불망비'입니다.당시 영의정을 지냈던 이최응으로 도움으로 서원철폐령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현가루(絃歌樓)  현가루는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그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천자문의 현가주연 ..

문화재 탐방 202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