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회 11

전남 화순. 충의사(忠毅祠) 최경회 사당.

충의사(忠毅祠)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충의로 409 (백용리 423) 충의사는 일반 사원이나 사당과 달리 토요일, 일요일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하는 고로 일요일에 찾아간 필자는 겨우 옆 샛길로 들어가는 불법?을 자행하고 말았다. 그런 관계로 충의사에 모셔진 충의공 (최경회)영정과 의암영당에 모셔진 논개부인 영정은 구경조차 하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충의사 이용 안내. 충의사는 일반 사원이나 사당과 달리 토요일, 일요일. 그리고 법정 공휴일은 휴관하므로 방문시 착오가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충의사 안내판. 충의사 안내문.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우고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 때 순절한 의병장 최경회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사당이다. 최경회의 자는 선..

발길을 따라 2025.02.17

충절녀(忠節女) 논개(論介)

충절녀(忠節女) 논개(論介)   지금으로부터 4백여 년 전. 밤 여덟(時)시경 주진사(朱進士) 내외는 저녁밥을 먹고 내일에의 살림꾸리기와 가정을 어떻게 이끌어 가야 할지 등을 다정하게 의논하고 있었다. 남편 주진사는 배가 남산만큼 부풀어 만삭이 된 부인을 바라보며, “여보, 해산달이 언제요?”하고 정중하게 묻자 부인은 수줍어하는 모습을 지으면서, “서방님, 별걸 다 물으세요. 그런 일은 우리 같은 아낙네가 관여할 일이지 서방님 같은 선비께서는 모른 체 하시는 거예요.” 하며 부인의 이 말이 막 끝나자마자. “아이구! 배야, 왜 이렇게 배가 아프지?” 하며 진통이 시작되는 듯 부인의 얼굴은 심하게 일그러졌다. 부인은 묵지근한 아랫배를 자신의 손으로 쓰다듬으며 혹시나 해서 소피를 보았지만 그래도 양쪽 방광이..

전설과 설화 2025.02.15

전남 화순.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

포충사지 출입문.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2013.12.12.)  *소재지: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15-9. *포충사 위치는 죽수서원 바로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일단 죽수서원에 들리면 뒤쪽 협문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전라우 의병장으로 각지에서 뛰어난 전공을 거두고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순절한 최경회(1532~1593)를 제향한 사우이다. 처음 사우가 건립된 년대는 1609년이고 1611년 사액되었다.  1630년(인조 8)에는 최경회와 함께 창의하여 큰 공을 세우고 진주성에서 순절했던 문홍헌(?~1593)을 배향하였다. 20여년이 지난 1655년(효종 6)에 도내 사림의 발의로 을묘왜변(1555년, 명종 10) 때 달랑진에서 순절한 ..

문화재 탐방 2025.02.14

전남 화순. 능주 삼충각(三忠閣)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

화순 능주 삼충각(綾州 三忠閣)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2021년 11월 19일) 좌로부터 문홍헌 정려, 중앙 조현 정려,  우측 최경회 정려.   *소재지:  전남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33-1번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최경회(1532∼1593)와 문홍헌, 을묘왜변 때 순국한 조현 등 3분의 충신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누각이다. 최경회는 선조 원년(1567)에 문과에 급제하고 영해군수를 지냈는데, 상(喪)을 당해 고향인 전라남도 화순에 내려와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그는 형들과 고을 사람들을 규합하여 의병을 모집하였고, 탁월한 용병술과 용장으로 진주 1차 싸움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공로가 인정되어 경상우병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선조 26년(1593) 왜군이 다시 공격해오자 이..

문화재 탐방 2025.02.03

전남 순천. 양천허씨. 충렬사(忠烈祠) 전남 문화재자료 제6호.

순천, 충렬사(忠烈祠) 양천허씨 사우.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주소: 전남 순천시 조례동 150 (순광로 119-16) 충렬사(忠烈祠)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허일(許鎰)을 주벽으로 하여 그의 아들 허곤(許坤)과 6촌 동생 허경(許鏡)의 위패를 모시고 배향하는 곳이다. 허일의 본관은 양천이며, 참판을 지낸 허혼(許渾)의 아들로 순천에서 출생했다. 성장하면서 뛰어난 무예 기량을 보였으며 무과에 급제한 후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고 임진왜란 때(1592)는 삼포수방사(三浦守防使) 겸 웅천현감으로 재직 중 이순신을 도와 남해 등지의 해전에서 공을 세웠다. 그 뒤 1593년 6월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최경회와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순절했다. 허곤..

문화재 탐방 2023.02.24

전남 장흥. 장흥위씨. 석천사(石川祠)

장흥. 석천사(石川祠) 전경. 임진왜란의 명장 위대기(魏大器) 장군의 사당. *주소: 전남 장흥군 장흥읍 행원1길 119 (행원리 197) 임진왜란의 명장 위대기(魏大器) 장군. 위대기 장군(1559 ~ ?)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자용(子容)이며 장흥읍 행원리에서 태어나 7년 간의 임진왜란에서 나라를 구하고 백성을 살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도와 장흥을 빛낸 분이다. 그는 장흥위씨로 고려 때 문화시중을 지낸 위계정의 후손이다. 그의 할아버지는 선전관을 지낸 위원신이고 아버지는 위문보로 참판을 증직 받았다. 어렸을 때부터 타고난 몸집이 커 키가 6척이 되었고 남달리 총명하고 의협심이 강하여 친구들과 전쟁놀이를 할 때면 늘 대장노릇을 했다. 무예에도 뛰어나 창과 칼을 다루는 솜씨..

발길을 따라 2022.02.14

전남 장흥. 장흥고씨. 봉강사(鳳岡祠)

봉강사 출입문.  봉강사 외삼문은 2006년 재각 재신축시 외삼문을 설치하지 않고 철제문으로 설치했다 한다.   다녀온 날: 2019년 10월 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모령리 542-1 (용안로 535-89)   장흥군 모령리 장흥고씨 봉강사(鳳岡祠)  장흥군 안양면 용안로 535-89, 모령리 봉동(鳳洞 샛골)에는 장흥고씨 소유 봉강사(鳳岡祠)가 위치한다.  이곳은 문열공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 충의공 일휴당(日休堂) 최경회(崔慶會), 효열공 준봉(준峰) 고종후(高從厚), 호조참의공 기봉(箕峰) 고수위(高守緯), 곡성현감공 문성(文成) 고언장(高彦章)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954년(壬辰) 설단(設壇)하고 陰 9월 15일 지역 유림의 주관으로 향사 해왔다. 이후 1979년(己未) 후손들의..

발길을 따라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