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11

전북 군산. 염의서원(廉義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적 제5호.

염의서원(廉義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2003년 12월 20일)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산면 염의서원길 156-9. (옥산면 당북리 723-1)   염의서원(廉義書院)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에 있는 제주고씨(濟州高氏)의 서원으로 숙종 11년(1685)에 최치원과 군산지역의 유학자인 고경(高慶)ㆍ고용현(高用賢)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순조 4년(1804)에 사액되었으며, 고종 5년(1868)에 서원 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20년에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한림마을 북서쪽의 산자락에 남서향하여 자리 잡고 있으며 1685년에 창건하여 1804년(순조 4)에 사액을 받았다.  1868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0년 재건립하였다.  서원..

문화재 탐방 2024.10.21

전북 군산. 옥산서원(玉山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옥산서원(玉山書院)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 (2003년 12월 20일)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 옥산서원은 서기 1929년에 건립된 서원으로 일제에 국권을 잃은 상황에서도 충, 효와 예절을 숭상하는 전통문화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이 지역 유림(儒林)들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본 서원에서는 신라시대의 성현 문창후 최치원 선생을 비롯하여 옥구지역의 문무 및 충효에 특출한 선현(先賢) 14분을 모시고 유림들의 배향으로 매년 음력 9월 계정일(季丁日)에 대제(大祭)를 올리고 있다. 옥산서원에는 사당인 옥산원, 강당, 내삼문, 원직사, 외삼문 등 총 5채의 건물이 있다. 그 중 중심 건물인 옥산원은 낮은 콘크리트 기단에 자연석 덤벙 주초를 놓고 그 위에 원주를 세..

문화재 탐방 2024.10.18

전북 군산. 세종대왕 숭모비 & 현충단(賢忠壇)

左: 현충사      &      右: 세종대왕 숭모비각.  *현충사와 세종대왕 숭모비각은 옥구향교 경내 좌측 담장 밖에 자리하고 있다.   *주소: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 50.   左: 현충사     &     右: 세종대왕 숭모비각 삼문.   세종대왕 숭모비각 입문.  세종대왕 숭모비 안내문.  세종대왕 출생: 1397(태조 6)사망: 1450(세종 32)재위: 1418년~1450년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능묘: 영릉(英陵)  조선 제4대 왕이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조선 초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왕.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된 후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여 조선 초기 국가의 기틀이 되는 전반적인 제도를 갖추었고, 조선왕조가 지배 기반으로 삼은..

발길을 따라 2024.10.16

전북 군산. 자천대. 전북 문화재자료 제116호. & 문창서원.

자천대 외삼문.  자천대(紫泉臺)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6호.(1984.04.01)   *옥구향교 경내 우측 담장 밖 외곽으로 자천대와 문창서원 및 단군성묘가 자리하고 있어 소개하겠습니다. ^^*   *소재지: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 (옥구읍)   자천대(紫泉臺)는 최치원과 관련된 일화가 남아있는 군산지역의 대표적인 누정 건축물로써 옥구향교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옥구군 선연리의 동산에 있었으나, 1934년 군용비행장 안으로 편입되자, 당시 유림들과 옥구 군수가 이를 옥구향교로 옮기고 경현재라 하였다가 1967년에 다시 건립하였다.  자천대(紫泉臺)는 본래 옥서면 선연리 하제 인근 바닷가의 작은 바위산을 칭하는 명칭이었는데 그 산 위에 2층 정자가 자리하고 있어 이 또한 자천대(..

문화재 탐방 2024.10.14

전북 정읍.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1963.01.21)  *주소: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  (태산로 2951) 호남 제일정(湖南 第一亭) 자연을 벗삼아 쉼터로 사용하고자 지은 피향정은 호남지방에서 으뜸가는 정자 건축이다.  통일신라 헌안왕(재위 857∼861) 때 최치원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지은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기록에 따르면 조선 광해군 때 현감 이지굉이 다시 짓고 현종 때 현감 박숭고가 건물을 넓혔으며, 지금 크기로는 숙종 42년(1716) 현감 유근(柳近)이 넓혀 세웠다고 한다. 그 뒤에도 몇 차례 부분적으로 고쳤는데 단청은 1974년에 다시 칠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문화재 탐방 2022.08.04

광주 남구. 경주최씨. 지산재(芝山齋)

경주최씨. 지산재(芝山齋)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1979년 8월 3일 지정)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지산재길 51 (양과동 715-1) 지산재(芝山齋)는 정면 4칸과 측면 2칸의 팔작지붕에 홑처마건물로써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된 신라 말 대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이다. 당초는 1737년(영조 13)에 이곳에 영당을 건립하고 최치원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1846년(헌종 12) 지산사를 새로 건립하여 최치원을 주벽으로 하여 최운하· 최향안 등을 모셔오다가 1886년(고종 23)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영당만이 남고 모두 철거되었다. 현재의 건물들은 1922년에 새로 복원된 것이다. 지산재는 당시 서원의 강당으로 사용된 건물이다. 높직한 기단(基壇)에 다듬은 돌 초..

문화재 탐방 2022.01.17

전남 보성. 경주최씨 사우. 충절사(忠節祠)

충절사(忠節祠) 전경. 충절사(忠節祠)는 임진(壬辰)왜란과 정유(丁酉)재란의 양란 때 의병(義兵)을 일으켜 국난(國難) 극복에 앞장선 모의장군(募義將軍) 최대성(崔大晟) 공(公)의 삼세충정(三世忠情)을 기리는 사당이다. 주소: 전남 보성군 득량면 충의로 1651(삼정리 108) 충절사 앞 마당은 드넓은 광장으로 조성되어있다. 모의장군 최대성 상. 募義將軍 崔大晟 像. 최대성(1553(명종 8)~1597(선조 30))장군은 조선중기의 무장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대양(大洋), 전라남도 보성출신,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과 대사성 해의 후손이고 만사정(曼思亭) 윤지(潤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사(都事) 계전(繼田)이고, 아버지는 첨정(僉正) 한손(漢孫)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유정(有..

발길을 따라 2020.12.30

전북 정읍.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

피향정(披香亭) 보물 제289호.(1963.01.21)  다녀온 날: 2019년 11월 3일.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  (태산로 2951)   호남 제일정(湖南 第一亭)  자연을 벗삼아 쉼터로 사용하고자 지은 피향정은 호남지방에서 으뜸가는 정자 건축이다. 통일신라 헌안왕(재위 857∼861) 때 최치원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지은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광해군 때 현감 이지굉이 다시 짓고 현종 때 현감 박숭고가 건물을 넓혔으며, 지금 크기로는 숙종 42년(1716) 현감 유근(柳近)이 넓혀 세웠다고 한다. 그 뒤에도 몇 차례 부분적으로 고쳤는데 단청은 1974년에 다시 칠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

문화재 탐방 2020.03.10

전북 정읍.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武城書院)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 홍살문.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1968.12.19 지정)  201년 7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곳으로한국에서 14번째로 지정된 1,100년의 역사를 품은 곳입니다.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원촌1길 44-12)      무성서원(武城書院) 전경. 외삼문 역할을 하는 현가루(絃歌樓)가 정면에 자리하고 있다.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무성서원 표지판과 각종 공적비.   공적비 비림. 우측에서 두번째 비석은 흥선대원군의 형인 '이최응 불망비'입니다.당시 영의정을 지냈던 이최응으로 도움으로 서원철폐령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현가루(絃歌樓)  현가루는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그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천자문의 현가주연 ..

문화재 탐방 2020.02.10

광주 남구. 경주최씨. 지산재(芝山齋)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지산재 표지석.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1979년 8월 3일 지정)   광주광역시 남구 지산재길 51(양과동 715-1)     지산재 안내판.  지산재(芝山齋)는 정면 4칸과 측면 2칸의 팔작지붕에 홑처마건물로써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된 신라 말 대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이다. 당초는 1737년(영조 13)에 이곳에 영당을 건립하고 최치원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1846년(헌종 12) 지산사를 새로 건립하여 최치원을 주벽으로 하여 최운하·최향안 등을 모셔오다가 1886년(고종 23)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영당 만이 남고 모두 철거되었다. 현재의 건물들은 1922년에 새로 복원된 것이다.  지산재는 당시 서원의 강당으로 사용된 건물이다. 높직한 기단(基壇)에 다듬은..

문화재 탐방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