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각 3

전남 화순. 김해김씨. 충신각(忠臣閣) 전남 문화재자료 제59호.

충신각(忠臣閣)  김해김씨 정려각.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59호(1984년 2월 29일)   *소재지: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길 16-1 (쌍봉리 498)    충신각(忠臣閣)은 김해김씨 김인갑(金仁甲:1564~1593), 김의갑(金義甲:?~?), 김시엽(金時燁:1586~1639) 등 3인의 충의를 기리기 위해 1872년(고종 10)에 건립한 정려각이다.  김인갑은 1579년(선조 12)에 무과에 급제하고 1591년에 훈련원 판관이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진주성 싸움에서 전사하였다.  김의갑은 김인갑의 아우로 1590년(선조 23)에 무과에 급제한 후 형과 함께 진주성 싸움에서 전사했다.  김시엽은 김인갑의 아들로 1621년(광해군 13)에 무과에 급제하고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과 1627년(..

문화재 탐방 2025.03.14

전남 무안. 강화노씨. 충신각(忠臣閣) 향토문화유산 제19호.

충신각(忠臣閣) 강화노씨 사우(江華魯氏 祠宇)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19호. (지정일: 2020년 12월 21일/ 창건일: 1893년)  *주소: 전남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 1205번지.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에 있는 충신각은 입향조인 노추소의 아버지인 임진왜란 공신 이우당(二憂堂) 노춘근(魯春根)을 모신 정려이다. 충신각에 배향된 노춘근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집안의 종을 이끌고 이순신 휘하에 들어가 당포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해전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왜적과의 전투 과정에서 화살이 떨어지자 적장을 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어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충신각은 출입문인 삼문과 정려각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정..

문화재 탐방 2023.08.02

전남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 해남군 향토유적 제2호.

해남 여흥민씨 부조묘.海南 驪興閔氏 不조廟.해남군 향토유적 제2호.  전남 해남군 마산면 은적사길 183-2 (장촌리 415)    여흥민씨 부조묘 안내문.  여흥민씨 부조묘(驪興閔氏 不조廟)는 민신(閔伸)과 그의 아들 민보창(閔甫昌)을 배향하고 있는 사당이다.민신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호(號)는 둔암(遯菴)이며 문종(文宗) 때 병조판서와 단종(端宗) 때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김종서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保衛)하다 피살되었다.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으로 정조(正祖) 때 관작(官爵)이 회복, 신원(伸寃)되어 삼재신(三宰臣)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다.부조묘는 원래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 부조묘기 나타난 것은 고려 중엽 이후 사당을 지으면서부터이다.우리 군(해남군)의 부조묘 중 국가에서 명을..

문화재 탐방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