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효동 정려비각 2

광주광역시 북구. 김덕령 장군 생가터

김덕령 장군 생가터. 이곳은 김덕령 장군이 살았던 집터로서 사당을 지어 기념하고 있다.*김덕령 장군의 충효동 정려비각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다녀온 날: 2019년 7월 28일.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40. 생가터에는 생가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고 생가터 표지석과 오래된 주택 한 채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김덕령(金德齡 1567~1596) : 본관은 광산. 자는 경수(景樹). 시호는 충장(忠壯). 광주(光州)출생.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 장성현감 이귀(李貴)의 천거로 종군 명령이 내려 졌으며, 전주의 광해분조(光海分朝)로부터 익호장군(翼虎將軍)의 군호를 받았다. 1594년 의병을 정돈하고 선전관이 된 후,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와 협력하..

발길을 따라 2019.08.09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광주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전경.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1985.02.25) 다녀온 날: 2019년 7월 28일. 광주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440) 기념물 제4호. 충효동 정려비각 표지석. 충효동 정려비각 안내문.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김덕령(1567∼1596)과 그의 부인 흥양이씨, 그의 형 김덕홍(1558∼1592), 그의 아우 김덕보(1571∼1596) 등 일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마을 앞에 세운 비석과 비각이다. 김덕령은 그의 형이 고경명의 지휘 아래 참전한 금산전투에서 전사하자 상중(喪中)인데도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막기 위해 진해와 고성 등지에서 싸웠다. 그러나 ..

문화재 탐방 2019.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