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살문 18

전남 장성. 봉암서원(鳳岩書院)

봉암서원(鳳岩書院) 전남기념물 제54호. 1981년 10월 20일 지정.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화차길 159.   망암 변이중(1546∼1611)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변이중은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로 군사 전략에 밝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큰공을 세운 분이다.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 등의 논문을 써서 화차를 제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숙종 23년(1697)에 세운 이 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된 후 1976년과 1984년에 새로 복원한 것이다. 변경윤· 윤진· 변휴· 변윤중을 추가로 모셔 현재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문 격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쪽에 교육 공간을 조성하고 뒤..

문화재 탐방 2016.04.29

충남 아산. 현충사(顯忠祠)

현충사 정문. *주소: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126. 현충사를 포함하여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주차장 이용료도 무료이다. 입장시간은 하절기는 오전 9시~오후 6시. 동절기는 오전 9시~오후 5시까지이다. - 관람 안내 - 하절기(3월~10월) 오전 09:00 ~ 오후 06:00. 동절기(11월~2월) 오전 09:00 ~ 오후 05:00.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관람 요금 및 주차비 무료. 현충사(顯忠祠)는 사적 제155호로 지정된 충남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 일대에 있는 사당으로 1704년(숙종 30) 아산의 지방 유생들이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사당건립을 상소함에 따라 1706년에 건립했으며, 그 이듬해 '현충사(顯忠祠)'..

이순신 유적 2015.05.30

전남 나주. 정렬사(旌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8호.

정렬사 홍살문. 정렬사(旌烈祠)  전라남도 기념물 제48호.  주소: 전남 나주시 대호동 642번지.   정렬사(旌烈祠)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김천일장군(1537~1593)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호(號)는 건재(健齋)이며 나주에서 태어나 1573년 군기시 주부등로 있었으며 1578년 임실 현감을 지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나주에 있다가 고경명, 박광옥, 최경회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김천일 장군은 왜군이 차지한 서울에 결사대를 보내 싸우고 한강 근처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으며 수원에서는 독성산성을 근거리조 하여 금령 전투에서 크게 승리도 하였다. 그 뒤 김천일 장군은 강화도로 근거지를 옮겨 전투준비를 하고 관군 등과 힘을 합쳐 양화도 전투에서도 왜군을 크게..

문화재 탐방 2015.05.08

전남 영암. 김극희장군 사당 충효사

충효사 입로석.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산2.    충효사는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에 조성된 김극희 장군의 묘소와 유물을 간직한 곳으로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로 지정되었고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을 도와 한산도 대첩과 명랑대첩에서 큰 전공을 세우고 순국하신 김극희(金克禧)장군(1532~1598)과 그의 아들 김함(金涵)장군의 사우와 묘역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 참조 / 영암군 홈페이지 -   홍살문.   정의문(正義門) 외삼문.   충효사 안내문.   행원당(行源堂)   성인문(成仁門) 내삼문.   충효사 묘정비.   충효사 사당.   유물전시관.   충효사 권역 안내도.   김극희 장군 묘소.   김극희 장군 묘소에서 내려다 본 영암 학산면 들녘. 아래쪽으로 ..

문화재 탐방 2015.02.23

전남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수은(睡隱) 강항(姜沆)선생  동상. 내산서원(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전남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22-2번지.  내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姜沆)선생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을 알아내어 고국으로 보내기도 하면서 일본에는 성리학을 전하였다. 선조 33년(1600) 귀국한 후 벼슬을 사양하고 독서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이 서원은 인조 13년(1635)에 나라에서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을 내려주었고 숙종 28년(1702)에 고쳐 세웠다. 일제시대 때에도 고쳐지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

문화재 탐방 2015.01.06

전북 정읍. 충렬사(忠烈祠)

충무공원 안내도. 전북 정읍시 수성동 615-1. 충렬사는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 성황산 서쪽 기슭에 있는 사당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충렬사는 충무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정읍시청 바로 옆에 있다. 충렬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관리로서 처음 부임한 곳이 바로 정읍현감이었다. 1589년 12월 정읍현감으로 부임하여 1591년 3월 이임할 때까지 1년 4개월 간 재임하며 선정을 베풀었습니다. 초대 정읍현감으로 부임하였던 이순신을 추모하기 위하여 8·15광복 이후 창건기성회를 조직하였고 전라북도 내의 학생들 및 각계의 성금을 모아 현재의 위치에 건립하기 위하여 1949년 8월에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6·25전쟁으로 중단되었으며 14년 뒤인 1963년 4월 준공하였다. 경내에는 사당..

이순신 유적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