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전남 영광. 연흥사(烟興寺)

백산(栢山) 2014. 1. 17. 12:19

 

                                                                  연흥사 대웅전 전경.

 

주소: 전남 영광군 군남면 용암리 890번지.

답사: 2013년 12월 1일.

 

연흥사 가는 길은 그리 편한 도로사정은 아니었으나 그런대로 다녀올만한 조그만 사찰이었다.

사찰에 들어섰는데 먼저 반기는 것은 강아지였다. 고마움에 먹던 과자를 던져주니 어쩔 줄을 모르고 먹어댄다.

사람이나 짐승이나 먹는 것에 고개를 돌리는 일은 없으니...ㅎㅎㅎ

 

아래 연흥사에 대한 기록은 웹상에서 잠시 빌린 글입니다. ^^*

 

 

 

전남 영광 서운산(日明山) 연흥사.

 

사찰의 창건주라고 전하는 각진국사(覺眞國師: 1270-1348)는 백양사, 월남사지, 불갑사 등지에서 수행하였다. 대웅전은 최근에 신축하였지만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느껴진다. 단청이나 문창살의 문양도 아름답다. 대웅전 계단 옆 우측의 작은 연못에는 딱 한 그루의 연꽃이 피고, 만개한 수국이 심어져있는데 연흥사의 전체적인 느낌과 잘 어울린다. 마을 주민들의 구전에는 불갑사는 작은 집이고, 연흥사가 큰집이라고 한다. 이것은 현재 불갑사가 규모면에서 연흥사보다 훨씬 크지만 과거에는 연흥사가 크고 번성하였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연흥사에는 새로이 조성한 대웅전과 선방, 그리고 과거에 대웅전으로 사용하였던 삼성각 등이 있다. 성보문화재로는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175호 묘법연화경 6종 14책,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8호 목조삼신불좌상, 석탑 1기, 부도 1기, 탱화 5점, 다라니경 목판 1점, 시방삼보자존패 1점 등이 있다. 그리고 사찰에서 500m 떨어진 곳에 마애불 2상이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 이곳을 들리지 못하고 돌아섰다.

 

 

                                              연흥사 입구에서 바라본 종각과 보제루.

 

 

대웅전 앞의 배롱나무와 동백나무.

 

 

대웅전과 석탑.

 

 

대웅전 전경.

 

 

대웅전 편액.

 

 

연흥사 안내문.

 

 

대웅전 앞에 흐르는 석간수.

 

 

3층 석탑.

 

 

이 석탑은 대부분 유실되어 1층까지만 남아있었는데 최근 대웅전 앞으로 옮기면서 주변에 남아 있는 석재를 이용하여 한층 더 올렸다. 기단은 2중 기단으로 하층의 면석 2매가 유실되었고, 상.하 갑석은 몇 군데 깨져 있다.

 

지대석은 4매의 장대석으로 결구하였다. 하층 면석은 2매만 남아 있는데 우주와 탱주는 모각하지 않고 안상 3구를 전면에 시문하여 특이하다. 이러한 양식은 고려시대 석탑에서 많이 나타난다. 하층갑석은 1매의 판석을 만들었으며 서쪽부분이 많이 깨졌다.

 

상층면석은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고, 우주와 탱주가 있다. 1층 탑신석은 1매이며, 우주와 탱주가 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옥개석은 비교적 두툼한 편으로 낙수면의 경사는 급하고, 층급받침은 4단이며, 우동마루의 합각은 예리하다.

 

원래의 정확한 층수는 알 수 없으나 1층까지의 비례로 보아 3층 석탑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높이가 230cm, 상층기단면석의 너비 94cm, 1층 탑신의 너비 50cm, 1층 옥개석 너비 83cm이다.

 

 

목조삼신불좌상(木造三身佛坐像)
 '석가모니불'과 '아미타여래'와 '약사여래불'

 

 

지장전 인듯.

 

 

약사전?

 

 

신중단?

 

 

이를 무어라 이름하는지???

 

 

효정당.

 

 

효정당 편액.

 

 

효정당과 요사채.

 

 

요사채 일부.

 

 

삼성각.

 

 

보제루.

 

 

보제루 출입구.

 

 

범종각.

아직 종각이 마무리 되지 않았다.

 

 

범종의 울림을 위한 울림판 홈.

 

 

종무소와 스님들의 거처인 듯

 

 

사찰 입구에서 본 보제루 전경.

 

 

사찰 입구에서 본 범종각과 보제루.

 

 

사찰 입구에서 바라본 범종각.

 

 

연흥사 찾아가는 길.

 

군남면은 영광읍에서 남쪽으로 위치하고 있는데 사찰은 면소재지에서 다시 남쪽으로 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군남면 용암리에서 용암저수지를 지나 소로를 따라 올라가면 '일명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