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량 백비(朴守良 白碑) 입구.
전라남도 기념물 제198호.
전남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11-1.
박수량은 중종 9년(1514)에 벼슬길에 올라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명종 원년(1546)에는 청백리에 올랐다.
명종 9년(1554)에 세상을 떠나면서 “시호도 주청하지 말고 묘 앞에 비석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을 정도로 청백리로서 청빈한 삶을 살았다. 그가 죽은 후 장례를 치르지 못할 정도로 빈곤하였다고 한다.
이에 나라에서 장례를 치르게 해주고 일생의 청백한 행적을 글로서 찬양한다는 것은 누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글을 쓰지 않고 상징적으로 백비를 세우도록 하였다고 전한다.
이 백비(白碑)는 박수량의 일생을 통한 청백정신과 행적을 당대는 물론 후세에까지 귀감이 되는 청백정신의 상징적인 유물로서 그 의미가 깊다. 현재 관리는 밀성박씨 돈재공파 대종중에서 하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박수량 선생 백비 입구 표지석.
아곡 박수량 선생 백비 안내문.
아곡 박수량 선생 신도비.
아곡 박수량 선생 묘지 전경.
묘 앞의 백비(白碑)
박수량 선생의 묘 앞에 서있는 호패형 빗돌 비석으로 아무런 글도 써 있지 않은 백비(白碑)이다.
무덤 앞의 백비와 묘비.
박수량 백비 안내문.
묘지 앞의 문인석(文人石)
아곡 박수량 선생 전시실.
아곡 박수량 선생 백비를 다녀간 관공서와 기업체들.
백비의 주인공 아곡 박수량의 연보.
명종의 백비 시(詩)
조선의 청백리 제도.
고산재(孤山齋) 전경.
밀양 박씨 제실이라 한다.
고산재((孤山齋)
고산재(孤山齋) 현판.
고려의사 밀성박공 휘승봉지단
高麗義士 密城朴公 諱承奉之壇
탐방: 2015년 5월 31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강진. 영모당(永慕堂) & 추원당(追遠堂) 전남 민속문화재 제28호. (0) | 2015.07.27 |
---|---|
전남 나주. 나주임씨. 영모정(永慕亭) & 백호기념관. 전남 기념물 제112호. (0) | 2015.07.25 |
전남 나주. 남평향교(南平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6호. (0) | 2015.07.01 |
전남 나주. 남평역(南平驛) 등록문화재 제299호. (0) | 2015.06.26 |
전남 해남. 녹우당(고산 윤선도 유적지) 사적 제167호. (0) | 201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