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전남 강진. 정수사(淨水寺)

백산(栢山) 2015. 7. 20. 09:51

 

정수사 안내판.

 

정수사 대웅전(淨水寺 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

 

 


전남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길 403 (용운리)

 

 

정수사 안내문.


 

정수사는 천태산에 있는 절로 기록에 의하며 통일신라 말 애장왕 6년(805)에 도선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세울 당시에는 계곡을 중심으로 양쪽에 묘덕사와 쌍계사 두 절이 있었는데 후에 쌍계사는 수정사라 이름을 바꾸었다. 한동안 폐허가 되었던 것을 중종 19년(1524)다시 지으면서 정수사라 이름을 바꾸었고,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짓거나 수리를 하였다.

 

정수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으며 4번에 걸쳐 수리한 기록이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겹처마로 가장 단순한 맞배집이다. 자연석 기단 위에 기둥을 세웠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이다. 내부에는 중앙 뒤쪽에 불단이 있으며, 천장에는 불화가 그려져 있다.

 

건물은 대체로 소박한 편이며, 외부 단청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나 내부에는 무늬 일부가 잘 남아 있다. 공포의 조각수법이나 단청 등에서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운계천기대사의적비(雲溪天機大師義蹟碑)

 

 

정수사 입구에 세워진 천태산 등산로 안내도.

 

 

사천왕문.

 

 

사천왕문에 사천왕상은 없었다.

 

 

범종각.

 

 

삼청루(三淸樓)

 

 

삼청루(三淸樓)

 

삼청루 아래로 난 통로를 지나 계단을 오르면 절집마당으로 통한다.

 

 

정수사 대웅전.

 

 

대웅전 현판.

 

 

정수사 대웅전 안내문.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 좌상(淨水寺 大雄殿 木造三世佛 坐像)

 

정수사의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삼세불 좌상은 조선시대에 정수사에서 조성(1561년 향좌상, 1644년 본존불과 향우상)되어 현재까지 원 위치에서 보존되어 오고 있다. 삼세불이란 법당에 불상 3구가 봉안되어 있을 때 사용된 용어로 양쪽에 보살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불이란 용어와 대비되고 있다.

 

향좌상(1561년)은 상호가 길쭉하며 머리는 나발이며 법의는 통견이고 수인은 중품하생인을 취하고 있다. 중앙에 봉안된 본존상(1644년)은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으므로 석가여래불이다. 삼세불 가운데 가장 크고 건장한 신체에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상호는 사각형에 가까우며 근엄한 표정이며 목에는 삼도가 있고 법의는 통견이며 군의는 17세기에 유행한 앙련형을 이루고 있다. 향우상(1644년)은 본존불과 같은 형식이며 수인은 중품하생을 취하고 있다.

 

정수사 삼세불은 대좌 윗면의 불상 받침 부분에 기록된 묵서(墨書) 조상기 내용에 따라 제작 시기와 중수 또는 중수 개금 시기가 조금씩 시차를 두고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향좌(向左)의 불상은 태보(太?)와 사담(思淡)에 의해 1561년에 조성되었고 1648년에 화원 승일(勝日) 등 7인에 의해 중수되었다. 본존불은 화원 승일 등 7인에 의해 1644년에 조성되었고 1722년에 화원 태원(太元) 등 5인이 개금하였다. 복장에서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卷終》과 ?觀世音菩薩寶?手眞言?, 《法華經》등이 조사되었다. 향우(向右) 불상은 본존불과 같이 화원 승일 등 7인에 의해 1644년에 조성되었다. 대법당 삼존불은 화원 계심(戒心)을 비롯해 16인의 장인들이 1779년 중수개금하였다.

 

임란 이전인 1561년에 조성된 향좌상이나 1644년에 조성된 본존상과 향우상은 16세기 중반과 17세기 중반의 목조불상의 조상기(제작연대와 제작자 등)를 보유한다는 점, 보존상태도 양호하고 각 시기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 좌상(淨水寺 大雄殿 木造三世佛 坐像)


 

지장전.

 

 

신중단.

 

 

산신각.

 

 

산신전.

 

 

천불전(千佛殿)

 

문이 잠겨있어 내부 촬영이 불가하였음.

 

 

도조사(陶祖祀)

 

고려시대 도공들을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사당.

 

 

고려시대 무명도공조상위패.

 

 

고려시대 도공기념탑.

 

 

문은 잠겨있고 전각의 현판이 없다.

 

 

용도를 알 수 없는 전각.

 

 

스님들의 처소인 듯하다.

 

 

요사채.

 

 

요사채 및 종무소.

 

 

새로 지은 전각으로 문이 잠겨있고 현판도 아직 없어 어떤 용도의 전각인지 알 수가 없다.

 

 

삼층석탑.

 

 

관세음보살상.

 

 

부도탑.

 

 

부도탑에서 바라본 정수사 도량.

 

 

탐방: 2015년 3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