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사지 진각국사비(月南寺址 眞覺國師碑)
보물 제313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1길 106-1(월남리)
월남사(月南寺)는 고려 중기에 진각국사(眞覺國師)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창건 이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진각국사의 성은 최씨(崔氏)이고 이름은 혜심(慧諶)으로 24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어머니의 죽음으로 출가를 하게 되었다. 출가 후 보조선사 밑에서 수도를 하였고 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대선사(大禪師)가 되었으며, 고종 21년(1234)에 57세로 입적하였다. 월남사 터에 서있는 이 비(碑)는 절을 창건한 진각국사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비(碑)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린 형태이다. 받침돌인 거북은 입에 구슬을 문 상태로 긴 목을 빼어들고 네 발을 단단히 짚고 있는데, 그 모습이 매우 강렬하고 사실적이다. 발톱에서 보이는 현실성이나 목과 머리조각의 세부표현 또한 전체적인 균형과 잘 어우러져 한층 돋보인다. 비몸은 원래 매우 컸다고 하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아랫부분만 남아 있으며,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은 잘 보이지 않는다.
비문(碑文)은 당시의 문장가인 이규보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며, 비(碑)를 세운 시기는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안내문.
옆에서 본 진각국사비.
진각국사비 뒷부분.
거북받침돌.
비몸은 원래 매우 컸다고 하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아랫부분만 남아 있으며,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은 잘 보이지 않는다.
비문(碑文)은 당시의 문장가인 이규보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며,
비(碑)를 세운 시기는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
탐방: 2016년 5월 29일.
'한국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영암. 법흥사(法興寺) (0) | 2016.06.20 |
---|---|
경북 경주. 불국사(佛國寺) (0) | 2016.06.16 |
전남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0) | 2016.06.02 |
전남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無爲寺 極樂寶殿) (0) | 2016.06.01 |
전남 순천. 송광사(松廣寺)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