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양씨 삼강문(梁氏 三綱門) 전경.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1호.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뫼안길 5-8 (박호동 산 131-1)
양씨 삼강문(일각문)
양씨 삼강문 현판.
현판은 1803년에 이헌중이 썼다고 한다.
양씨 삼강문 안내문.
양씨 삼강문(梁氏三綱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진주성 전투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충민공 양산숙 의병장을 비롯한 충신과 효자. 절개를 지킨 열녀. 절부 등 7명을 1635년 인조의 특명에 따라 모시고 있다.
삼강문은 이들이 생전에 살았던 박뫼마을 앞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삼세구정려(三世九旌閭) 전경.
양씨 삼강문(梁氏 三綱門)은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으로 양반의 일가가 풍비박산이 나는 가슴 아픈 사연이 깃 든 곳이다. 이들은 학포 양팽손의 후손들이다.
이곳은 의병장, 공조 좌랑 양산숙(梁山璹)을 위시로 할아버지는 기묘명현(己卯名賢) 증조부인 양팽손(梁彭孫)을 이어 대사성 양응정(梁應鼎), 양산룡 선생, 거오제 양만룡 선생 등 4대를 이어 '충효열의(忠孝烈義)'를 실천했다고 높이 추앙되고 있다.
그래서 박뫼 마을은 임진왜란부터 구한말까지 의병활동의 중심에 있었던 '충(忠)'의 고장으로 전국에서 명소로 알려졌다.
삼세구정려(三世九旌閭) 현판.
양씨 삼강전.
양씨 삼강려 중수기.
충신 증 자헌대부사 양산숙 지려.
양산숙은 김천일 장군을 도와 의병을 일으켜 강화도에 진을 친 다음 고경명 장군의 밀서를 가지고
의주행재소로 가서 선조에게 의병의 활동과 적의 동태를 보고하였다.
절부 증 자헌대부사 조판서 충민공 양산숙 처 정부인 이씨 지려.
절부 광산이씨 양산숙의 처로 정유재란 때 무안 승달산에서 왜적을 만나 항거하다가 자결하였다.
효자 학생 양산수 지려.
삼양포에서 형 양산룡과 함께 어머니를 구하려다 함께 순절하였다.
열녀 성균관 진사 김광운 처 양씨 지려.
김광운에게 출가한 양응정의 딸, 양산숙의 누이.
정유재란 때 삼양포에서 일본군과 만나 순결을 지키기 위해 투신하여 자결하였다.
효자 성균생원 양산룡 지려.
효자 양산룡, 양산숙의 형으로 군량미를 모아 의병을 돕고 정유재란 때 피난하다가
삼양포에서 왜적을 만나 어머니 죽산박씨와 함께 바다에 투신하여 순절하였다.
절부 증 가선대부 예조참판 통정대부 홍문관 부제학수 경주부윤 양응정 처 정부인 박씨 지려.
副提學(부제학) 양응정의 처이자, 양산숙의 어머니로써
삼양포에서 일본군과 만나 아들, 딸과 함께 순절하였다.
열녀 성균관 진사 김광운 처 양씨 지려.
김광운에게 출가한 양응정의 딸이며, 양산숙의 누이로써 정유재란 때
삼양포에서 일본군과 만나 순결을 지키기 위해 투신하여 자결하였다.
절부 성균생원 양산룡 처 고흥류씨 지려.
열녀 현령 임환 처 양씨 지려.
절부 김두남 처 제주양씨 지려.
양씨부인은 용당에서 왜구에 붙잡히자 가족들이 타고 있는 배를 피신시켜
가족들의 생명을 구하고 자신은 바다에 뛰어들어 순절했다.
삼세구정려(三世九旌閭) 전경.
이곳에 모신 분은 충신 양산숙 외에 효자. 열녀. 절부가 각 두 명씩이다.
의병장 양만룡의 어등산 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서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큰공을 세운 梧齋(오재) 양만룡(1598~1651)은
자신의 고향인 어등산 아래 박산마을에서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빈집의 잠자리가 차가워 문득 깨워보니
븨를 보내는 높은 바람 소리 처마 끝에 울이네
우짖는 까마귀는 새끼 데리고 안개 낀 숲으로 들어가고
새들은 둥지를 찾아 난간으로 들어오네
창 그림자는 점점 달 그림자 따라 돌아가고
벌레소리 도로 이어지고 빗소리 그쳐가네
황룡강의 물과 돌, 어등산의 정취가
밤마다 또렷이 꿈속에서 보이네. (옮겨 적음)
박뫼마을(박산) 내력.
제주양씨 삼강전 비.
제주양씨 삼강전 안내글
양씨 삼강문 전경.
2018.09.26.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강진. 창녕조씨. 효정재 & 대계사. 전남 민속자료 제47호. (0) | 2019.01.07 |
---|---|
전남 강진. 초겨울에 찾은 영랑생가. 중요민속문화재 제252호. (0) | 2019.01.02 |
광주 광산. 용아 박용철 생가. 광주 기념물 제13호. (0) | 2018.12.19 |
광주 서구. 만귀정(晩歸亭) 광주문화재자료 제5호. (0) | 2018.12.14 |
광주 서구. 병천사(秉天祠)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 (0) | 201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