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을 따라

전남 영암. 김해김씨. 삼효문(三孝門)

백산(栢山) 2021. 10. 29. 09:00

김해김씨 삼효문(三孝門)

 

 


*소재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257-1.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257-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삼효문은 김해김씨 사군파 양문공 김완 장군의 10世孫이신 성린공(成鱗公)의 영모각(永慕閣), 정묵공(正默公)의 실적비각, 상윤공(相奫公)의 삼효각으로 효행 삼효 정려문이다.

 

고종 24년(1887년)에 성린에게는 증가선대부 호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로 명(命)하고 영모각을 하사하셨으며 차자(次子)인 정묵에게는 가선대부 행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증직하여 1920년에 문중에서 실적비각(實跡碑閣)을 세웠다. 부자(父子)가 부모님께 백행지원(百行之源)의 으뜸인 지극한 효행의 징표이며 쌍효자(雙孝子)라 하였다.

 

조카인 상윤은 부모님 병환에 초산어수(樵山漁水)로 약을 구하여 자신의 몸을 대신하기를 하늘에 빌고 1919년에 고종황제가 승하하시니 조석으로 북향 사배(四拜)하시면서 단식통곡하였음에 충(忠)과 효(孝)의 표상이라 영암향교 유림들이 품의하여 1927년에 성균관에서 효자 포장(褒狀)을 내려 정려문을 세우니 삼효각(三孝閣)이라 하였고 세칭 일문삼효(1門3孝)라 하였다.

 

 


- 김해김씨 삼효문에서 -

 

 

 

삼효문(일각문)

 

 

 

삼효문 안내문.

 

 

 

중건기념식수.

 

사군파 대종손 영암군수 김철호.

 

 

 

중수기념식수.

 

사군파 대종회 대종회장 김재호.

 

 

 

효자 김정묵 실적비.

 

 

효자 김정묵 실적비.

 

 

효자비 후면.

 

 

 

김상윤공의 삼효각(三孝閣)

 

 

 

 

삼효각 현판.

 

 

 

김해상윤공 효자비.

 

 

 

 

김해김씨 삼효각 중수기.

 

 

 

삼효각 재건축 상량기원문.

 

 

 

김해김씨 삼효정려기.

 

 

 

김성린 공의 영모각.

 

 

 

영모각 현판.

 

 

 

효자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김해김성린지려.

 

 

 

김효자 정려기.

 

 

 

제 김효자려 및 영모각 중수 상량기원문.

 

 

 

행헌 김해김공옥현 모선비.

 

 

 

풍상에 마모가 심하여 글의 흔적을 알아 볼 수가 없다.

 

 

 

삼효각에서 바라본 효자비와 영모각.

 

 

 

 

*다녀온 날: 2021년 10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