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덕정(樂德亭)
전라북도지정 문화재자료 제72호.
(1984년 04월 01일. 지정)
*하서 김인후 선생이 은거했던 정자.
*주소: 전북 순창군 복흥면 상송리 49-1.
낙덕정(樂德亭)은 1900년(고종 37년)에 이 지방 상송리(上松里)에 거주하던 김노수(金老 洙)에 의해 세워졌는데 조선 선조 때의 명유(名儒)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을묘(乙卯) 을사(乙巳)사화와 중종의 치독승하(致毒昇遐)를 개탄(慨歎)하여 관직(官職)을 사임(辭任)하고 이곳 낙덕정에 은거하였는데, 그가 예언하기를 이곳에서 뒤에 훌륭한 인물이 나올 것이라 하며 이곳에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낙덕정(樂德亭)의 기둥은 원주로서 화강암을 약 80㎝높이로 깎아 받치고 그 위에 나무기둥을 올렸으며 8개의 팔괘를 그려 넣었고 부연을 달아 처마를 길게 빼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초대 대법원장을 역임했던 가인(佳人) 김병로(金炳魯)선생께서 소년시절에 이곳에서 공부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이 낙덕정은 상송리(上送里)의 김병일(金炳日)을 비롯한 울산김씨(蔚山金氏) 문중(門中)에서 관리하고 있다.
- 웹사이트 -

낙덕정으로 오르는 돌계단과 낙덕정 안내문이 보인다.

낙덕정 안내문.

낙덕정 입구에 세워진 김병로 선생 생가터와 훈몽재 이정표.

낙덕정으로 오르는 돌계단.

낙덕정(樂德亭)
낙덕정은 팔모단층의 팔모지붕으로 되어있으며 정자 내부에 1칸의 방을 두었다.
*관리: 울산김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낙덕정(樂德亭) 현판.
河西先生 12代孫 源中 書.
庚午 秋 七夕

낙덕정 내부.

낙덕정 상량문.

낙덕정 중앙에 한 칸의 방이 들어섰다.

낙덕정 우측 내부.

낙덕정 좌측 내부.

낙덕정.
기둥은 원주로서 화강암을 약 80㎝높이로 깎아 받치었다.

낙덕정.

낙덕정 표석비와 안내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2호 낙덕정 표석비.

낙덕정 옆에 세워진 낙덕정 안내문.

낙덕정 뒤편.
이 높은 곳에 수도시설이 있으나 물은 나오지 않았다.

낙덕정에서 내려다 본 가을 들녘.

낙덕정에서 내려가는 돌계단.
*2022.10.23.

@필독 사항@
'백산' 닉네임이 기재되지 않고 올려진 댓글은
주인없는 광고 전단지로 단정하고 삭제하겠으니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부안. 수성당(水城堂) 전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 (0) | 2025.04.28 |
---|---|
전남 장성. 황주변씨. 봉암서원(鳳岩書院) 전남기념물 제54호. (39) | 2025.04.14 |
전북 순창. 하서 김인후.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전북 문화재자료 제189호. (45) | 2025.04.07 |
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필암서원(筆巖書院) 사적 제242호. (53) | 2025.04.02 |
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난산비(河西 金麟厚 卵山碑) 전남 문화재자료 제241호. (56)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