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암서원 입구에서...
봉암서원(鳳岩書院)
전남기념물 제54호.
1981년 10월 20일 지정.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화차길 159.
망암 변이중(1546∼1611)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변이중은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로 군사 전략에 밝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큰공을 세운 분이다.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 등의 논문을 써서 화차를 제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변이중은 자비와 집안 사촌동생 변윤중의 재정적 도움을 받아 화차 300대를 제작했으며, 그중 40대를 선박 편으로 경기도 고양에 소재하는 행주산성에서 분투하고 있는 권율 장군에게 보내 그해 2월 12일의 행주산성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힘을 보탰다.
숙종 23년(1697)에 세운 이 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된 후 1976년과 1984년에 새로 복원한 것이다. 변경윤· 윤진· 변휴· 변윤중을 추가로 모셔 현재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문 격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쪽에 교육 공간을 조성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을 배치하였다.
교육 공간으로는 유림의 회합 장소이면서 교육 장소로 사용하던 성경당과 유생들이 숙식하던 곳인 훈덕재, 경의재가 있다.
제사 공간으로는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신 종앙사를 아담한 규모로 마련해 놓았다.
화차를 제조하던 유적지로서 1982년 전라남도 기념물 제54호로 지정하였으며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시징당과 봉암서원을 바라보며...
변이중(邊以中)
출생: 1546년.
사망: 1611년 (향년 65세)
전라도 장성현 읍서면 장안리.
(現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장안리)
본관: 황주 변씨.
자: 언시(彦時)
호: 망암(望庵)
가족 관계.
부 - 변택(邊澤)
모 - 함풍 이씨.
사위 - 김자점.
시징당.
문이 잠겨있어 출입이 불가했다.
시징당 현판.
시징당 안내판.
시징당에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사용했던 화차와 신무기 등이 전시되고 있다.
용도가 무엇인지???
봉암서원 홍살문
외삼문
(두남문)
두남문 현판.
봉암서원 복원비.
봉암서원 안내판.
봉암서원 전경.
봉암서원 현판.
성경당.
유림회합 장소 및 교육 공간.
성경당 현판.
내삼문.
봉암서원 묘정비.
내삼문.
(엄온문)
엄온문 현판.
훈덕재. 서재.
유생들 숙박시설.
훈덕재 현판.
경의재. 동재.
유생들 숙박시설.
경의재 현판.
종앙사(宗仰祠)
변이중 선생을 비롯하여 변경윤· 윤진· 변휴· 변윤중 선생을 배향하고 제사지내는 공간.
종앙사(宗仰祠) 현판.
관세위(盥洗位)
사당에 들어가기 전에 손 씻는 곳.
2025.03.09.
@필독 사항@
'백산' 닉네임이 기재되지 않고 올려진 댓글은
주인없는 광고 전단지로 단정하고 삭제하겠으니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나주. 영호정(永護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4호. (0) | 2025.05.05 |
---|---|
전북 부안. 수성당(水城堂) 전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 (0) | 2025.04.28 |
전북 순창. 하서 김인후. 낙덕정(樂德亭) 전북 문화재자료 제72호. (51) | 2025.04.09 |
전북 순창. 하서 김인후.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전북 문화재자료 제189호. (45) | 2025.04.07 |
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필암서원(筆巖書院) 사적 제242호. (53)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