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새미로 <조소1> 국립 목포대학 미술학과 28회 졸업작품전의 조소 1(제3 전시실)을 소개합니다. <온새미로>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생김새 그대로,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라는 뜻의 순우리말. 이 작품은 대작으로서 전시실 밖 상설전시관 입구에 설치해 두었다. 그런데 작품명과 출품자의 이름을 알아오지 .. 목포 문예계 2009.12.16
[동영상] 목포 문학관 <차범석 관> 목포 문학관 <차범석 관>에서 녹화한 것입니다.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글, 그림 / 이태원 사랑방. 목포 문예계 2009.11.26
목포 문학관 <차범석 관3> 차범석. 차범석님은 戰後 작가로 분류될만한 극작가이면서도 전쟁이라는 주제에 고착하지 않고 철저한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를 통해 현대적 서민심리를 추구하는 작품경향을 보인다. 최승희(崔承喜)의 무용에 이끌려 무대예술과 인연을 맺어 등단 50주년을 넘긴 작가는 이해랑(李海浪). .. 목포 문예계 2009.11.25
목포 문학관 <차범석 관2> 차범석 像. 차범석 님은 195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밀주(密酒)>가 가작 입선되고, 1956년 같은 신문에 <귀향>이 당선됨으로써 등단한 후 창작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20대에 6.25전쟁을 겪은 전후문학세대로서 사회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의식이 강한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특히 .. 목포 문예계 2009.11.24
목포 문학관 <차범석 관1> 차범석 사진. 차범석(車凡錫, 1924. 11. 15 ~ 2006. 6. 6) 목포 문학관의 박화성, 김우진 님을 비롯하여 마지막으로 차범석 관을 소개합니다.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1924년 11월 15일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나 2006년 6월 6일 생을 마감했다. 1945년 광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66년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 목포 문예계 2009.11.23
[동영상]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에서 녹화한 것입니다. 미흡한 부분이 많으나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글, 그림 / 이태원 사랑방. 목포 문예계 2009.11.22
목포 문학관 <김우진 관3> 김우진 像. 1926년 8월 4일 김우진은 그와 예술적 애정관계를 맺고 있던 일본 도꾜 우에노 음악학원 출신이자 <死의 찬미>를 불러서 국내외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누렸던 소프라노 가수 윤심덕(尹心悳)과 일본에서 한국으로 향하던 연락선에서 현해탄으로 투신정사(投身情死)하였다. 그때의 도하(都.. 목포 문예계 200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