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769

전남 영광.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

영광향교 만화루(萬化樓) 만화루는 향교 입구 마을의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1985.02.25)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교촌리 393  (향교길 32)   향교는 본시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지어진 영광향교는 선조 15년(1582)에 수리되었다.  임진왜란(1592)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복원하였으며, 현재의 건물들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다.  앞쪽에 대성전을 중심으로한 제사공간을 두고, 뒤쪽에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두고 있어, 향교 배치..

문화재 탐방 2024.07.24

전남 영광. 청주한씨. 추원재(追遠齋)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13호.

추원재(追遠齋) 및 한광윤 묘소(韓光胤 墓所)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13호.(2020.12.13 지정) *소유자: 청주한씨 삼제 관리위원회.  *주소: 전남 영광군 법성면 영광로 4길 119 (신장리 744)   추원재(追遠齋)는 고려시대 문신 예빈공 한광윤(韓光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각으로 ‘귀후의 뜻을 취한다’는 의미에서 추원재라 이름 지었다. 1750년 전라도 관찰사로 재임한 후손 한익모가 재각을 창건했고, 외부에 있는 편액은 한철유가 1787년경 제작한 것으로, 상량문을 통해서 볼 때 현재 재각은 1958년 크게 중건되었다. 또한 추원재 내부에서는 추원재나 묘역과 관련된 다수의 고문서가 확인되었으며, 추원재 뒤편에는 고려시대 문신 예빈공 한광윤을 모신 묘역이 매우 잘 조성돼 있으며, 묘소 앞..

문화재 탐방 2024.07.22

전남 영광. 영월신씨. 신호준(辛鎬俊)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26호.

신호준 가옥(辛鎬俊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6호(1988.12.21)   *소재지: 전남 영광군 영광읍 입석길 1길 151-16.(입석리 373)   이 가옥은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성재 신응순(1572∼1636)과 신응망(1595∼1654)을 배출하여 유명해진 영월신씨 종가이다. 알려진 바로는 신암규(1815∼1886)가 크게 고쳐지었다고 한다. 안채와 사랑채를 비롯하여 총 11동으로 구성된 큰 규모의 저택이다. 안채는 중부지방식 평면형인 ㄱ자형 집으로 작은방·대청·방 2칸·마룻방·안방·부엌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대청·방·골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一자형 집이다. 앞뒤로 툇마루를 놓았는데 남쪽 끝에서 대청 앞까지만 설치하였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영광 신호준 가옥 안내문.  신호준 ..

문화재 탐방 2024.07.19

전남 영광. 경주김씨. 송림사(松林祠)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6호.

송림사 전경.(입구를 쇠사슬로 막아두었다.)  송림사 효자 김시구 정문비(松林祠 孝子 金時九 旌門碑)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6호.(2020년 1월 30일) 경주김씨 계림군파 윤경종중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복호로 1길 139.   송림사는 효자 김시구 등 5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로 백원문, 효덕제, 사효문, 송림사, 정효각 등이 있다. 정효각은 효자 김시구가 받은 길이· 너비가 2.4m 단칸짜리 정려로 내부에 효자 김시구 지문(孝子 金時九 之門) 현판과 효자 김시구 정문비(孝子 金時九 旌門碑)가 있다. 효자 김시구 정문비는 1794년(정조 18)에 세워진 비석으로 비석의 4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효자 김시구의 효행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후대에 모범이 될 수 있는 효자 김시구의 효행이 ..

문화재 탐방 2024.07.17

전남 영광. 영성정씨. 장산사(長山祠)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

장산사 홍살문. 철문이 굳게 닫혀있어 내부로 진입이 불가하여 담장 밖에서 촬영했다.    장산사 유허비.(長山祠 遺墟碑)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2020년 1월 30일 지정) 관리: 영성정씨 종중 대표 정의성.  *주소: 전남 영광군 군남면 군불로1길 11-5.   장산사(長山祠)는 영성군 정찬 등 영성정씨 선조 3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로, 사우에는 취성문, 장산서원, 명강제 등이 있다. 1759년(영조 35)에 창건되었으며, 1868년(고종 5) 훼철된 후 1893년 옛터에 유허비를 세웠다. 장산사 유허비(長山祠 遺墟碑)는 장산사의 역사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유허비로 보존상태도 비교적 좋아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 웹사이트 -  취성문(聚星門)  장산사 연혁 안내판과 유허비. (유허비는..

문화재 탐방 2024.07.15

전남 영광. 동래정씨. 지산사(芝山祠)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

연정(蓮亭) 지산사로 들어가는 입문 겸 정자로 구성되어있다.   지산사 강륜당(芝山祠 講倫堂)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2020년 1월 30일) 동래정씨 죽창공파 종중(동래정씨 죽창공파 종중. 대표: 정진기)   *주소: 전남 영광군 백수읍 지산길 2길 43-6.   백수읍 지산리에 있는 지산사는 향중 유림의 발의로 죽창 정홍연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봉산면 지산리에 사우를 창건하고 제향해 오다가 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고종 32년(1895) 현 소재지에 사우를 중건하고 복설하였다.  향사일은 매년 2월 20일이다. 지산사는 죽창 정홍연의 덕을 추모하는 사우로 강륜당과 지산사로 구성돼 있다.  1751년(영조 27) 초창 후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79년 현 소재..

문화재 탐방 2024.07.12

전남 영광. 함평이씨. 남강사(南岡祠)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숙연문(肅然門)   남강사 유허비(南岡祠 遺遺墟)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2020년 1월 30일) *관리: 함평이씨 남강사 대표 이생중  *소재지: 전남 영광군 대마면 동삼로 9길 27.   남강사 유허비(南岡祠 遺遺墟)는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남강사에 있는 유허비이다.  2020년 1월 30일 영광군의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남강사는 죽음 이만영 등 5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로, 남강사, 숙연문, 숭절당, 정절문 등이 있다.  1741년 이만영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됐다가, 1763년 철폐된 후 1805년 현 소재지에 사우를 이건하였고, 1868년 훼철된 후 1928년 복설하였다. 남강사 유허비는 1897년 훼철된 사우의 터에 건립됐으며, 정면에 남강 삼선생 사우 유허(南..

문화재 탐방 202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