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암(想思岩)에 얽힌 전설 상사암(想思岩)에 얽힌 전설. 경남 남해군에 솟아있는 금산. 이 산에서도 가장 웅장하고 큰 바위이면서 로맨틱하고 낭만적인 사연이 깃들은 상사암(想思岩)에 얽힌 감동적인 전설을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때는 조선 19대 숙종왕 시절. 현재의 전남 여천군에 속한 돌산도에 피붙이 혈육 하.. 야담과 해학 2015.04.01
남해 금산(錦山)과 이태조(李太祖) 남해 금산(錦山)과 이태조(李太祖) 한려수도해상국립공원에 속한 남해군에 솟은 금산은 전설의 고향이라 할 만큼 얽힌 전설이 많은 곳이며, 특히 금산 38경으로 유명하며, 금산(錦山)의 본래 이름은 보광산(普光山)이었다. 독자들께서 만일 이곳으로 여행을 가실 일이 있다면, 미리 사전에.. 야담과 해학 2015.03.27
대접만 받고 가버린 풍수(風水) 대접만 받고 가버린 풍수(風水) 옛날 충청도 어느 고을에 아들 3형제가 살았다. 불행하게도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장례를 모시게 되었는데, 당시 풍습에 따라 좋은 묘 자리인 명당을 찾기 위해 유명한 풍수를 초청하였다. 명당에 묘를 잘 쓰느냐 못쓰느냐에 따라 돌아가신 부모에게 효도가.. 야담과 해학 2015.03.23
쌍화도의 사랑이야기 쌍화도의 사랑이야기. 충청남도 보령군 소성리 마을에서는 언제부터인가 음력으로 삼월 삼짓날이 되면 어부들이 고기 풍년을 비는 풍어제를 지내오고 있다. 이 마을 앞 바다에는 쌍화도라는 섬이 있는데, 이는 두 개의 섬이 서로 맞대고 쳐다보고 있는 듯 한데, 여기에는 두 남녀의 아름.. 야담과 해학 2015.03.18
승려 조신(調信)의 꿈 승려 조신(調信)의 꿈. 이 설화는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주제로 한다. 그리고, 이것은 조신이 나중에 깨달은 바 있어 정토사(淨土寺)라는 절을 세웠다고 하는 사원연기설화(寺院緣起說話)이기도 하다. 조신은 지금의 강릉 지방에 있는 세규사(世逵寺)의 승려였다. 그는 강원도 명주군 태수.. 야담과 해학 2015.03.09
다자구야 들자구야 다자구야 들자구야. 먼 옛날. 소백산에는 도적 떼들이 무척 많았다 한다. 그 사실을 입증이라도 하듯 「다자구야 들자구야」라는 민요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이는 도둑을 잡기 위한 신호였다고 한다. 과연 어떤 사연이 있기에 그런 말이 생겨났을까? 소백산 기슭의 충북 단양군과 .. 야담과 해학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