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령 6

전북 정읍. 황토현 전적지(黃土峴 戰蹟地)

황토현 전적지(黃土峴 戰蹟地) 사적 제295호. 전북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3 (하학리 산 3-5) 황토현 전적지(黃土峴 戰蹟地) 황토현 전적지는 동학농민혁명 발상지로서 1894년(갑오년) 동학혁명운동 당시 농민군이 관군과의 첫 싸움에서 크게 승리한 싸움터이다. 조선 고종 31년 정월(양 2. 17) 전봉준 장군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은 고부관아를 점령하여 학정을 일삼던 탐관오리 고부군수 조병갑을 몰아냈다. 그리고 그 해 백산에서 다시 봉기한 농민군은 이를 토벌하기 위해 이곳 황토현에 진을 치고 있던 전라감영의 관군을 4월 7일(양 5.11) 새벽, 기습 공격하여 대승하였다. 이곳에서의 승리는 농민군의 사기를 크게 높여주었고 당시 농민들이 외쳤던 제폭구민(除暴救民) 보국안민(輔國安民) 척양척왜(斥洋斥倭)..

동학 유적지 2020.03.14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環碧堂) 명승 제107호.

광주. 환벽당(環碧堂) 명승 제107호. (2013.11.06. 지정) 환벽당(環璧堂)은 김윤제(金允悌: 1501-1572)가 나주목사를 그만두고 후학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낸 정자로써 김덕령의 조부 김윤효(金允孝)의 동생이다. 김덕령 장군이 어릴 때 김윤제에게 글을 배우던 곳이며, 송강 정철도 이곳에서 공부했다.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387 (환벽당길 10) 우암 송시열 선생이 썼다는 환벽당(環碧堂) 현판. 환벽당(環璧堂)은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 1501~1572)가 노년에 자연을 벗삼아 후학양성을 목적으로 건립한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유실형(有室形)정자로 가까이에는 무등산 원효계곡의 계류가 흐르며 계곡아래 증암천(甑巖川) 주변에는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장관을 이뤄 자미탄(紫薇灘)이라 ..

문화재 탐방 2019.08.12

광주광역시 북구. 취가정(醉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

취가정(醉歌亭)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2014.01.09) *취가정은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혼을 위로하고 충정을 기리려고 후손들이 세운 정자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길 42-2 (충효동 397-3) 취가정 안내문. 취가정(醉歌亭)은 임진왜란 때 조선 의병의 총지휘관이었던 충장공 김덕령 장군(忠將公 金德齡 將軍)의 혼(魂)을 위로하고 충정을 기리려고 후손들이 세웠다. 정자의 이름인 '취가정(醉歌亭)'은 정철의 제자였던 석주 권필(1569~1612)의 꿈에서 비롯되었다. 김덕령은 1596년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옥사를 당한 것을 호소하며 한 맺힌 노래(취시가)를 들려주었고 권필은 이에 화답하는 시를 지어 그를 위로했다고 한다. 그래서 정자 이름도 노래에 취한다는 뜻의 ..

문화재 탐방 2019.08.10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광주 북구.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 전경.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1985.02.25) 다녀온 날: 2019년 7월 28일. 광주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440) 기념물 제4호. 충효동 정려비각 표지석. 충효동 정려비각 안내문. 충효동 정려비각(忠孝洞 旌閭碑閣)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김덕령(1567∼1596)과 그의 부인 흥양이씨, 그의 형 김덕홍(1558∼1592), 그의 아우 김덕보(1571∼1596) 등 일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마을 앞에 세운 비석과 비각이다. 김덕령은 그의 형이 고경명의 지휘 아래 참전한 금산전투에서 전사하자 상중(喪中)인데도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막기 위해 진해와 고성 등지에서 싸웠다. 그러나 ..

문화재 탐방 2019.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