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 5

전남 영암. 김해김씨. 삼효문(三孝門)

김해김씨 삼효문(三孝門) *주소: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257-1.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257-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삼효문은 김해김씨 사군파 양문공 김완 장군의 10世孫이신 성린공(成鱗公)의 영모각(永慕閣), 정묵공(正默公)의 실적비각, 상윤공(相奫公)의 삼효각으로 효행 삼효 정려문이다. 고종 24년(1887년)에 성린에게는 증가선대부 호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로 명(命)하고 영모각을 하사하셨으며 차자(次子)인 정묵에게는 가선대부 행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증직하여 1920년에 문중에서 실적비각(實跡碑閣)을 세웠다. 부자(父子)가 부모님께 백행지원(百行之源)의 으뜸인 지극한 효행의 징표이며 쌍효자(雙孝子)라 하였다. 조카인 상윤은 부모님 병환에 초산어수(樵山漁水)로 약을 구하여 자신의 몸을 대신하기..

발길을 따라 2022.09.16

전남 영암. 김해김씨. 운호사(雲湖祠)

김해김씨. 운호사(雲湖祠) *소재지: 전남 영암군 서호면 몽해리 372번지 (꿈바다길 125-19) 운호사(雲湖祠)는 서호면 몽해리에 있으며, 김해김씨 문중 사우이다. 1817년(순조 17)에 김극희, 김함, 김완, 김여옥, 김여준을 제향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 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61년에 복설되었다. 운호사(雲湖祠)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의 형태이며 운호사에는 를 비롯하여 , , 13책, , 등 여러 종류의 고문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운호사 일각문. 저존문(내삼문) 저존문(著存門) 현판. 운호사(雲湖祠) 운호사(雲湖祠) 현판. 운호사. 운호사 뒷편의 동백나무. 몽해리 쉼터, 몽해회관. 몽해리 시비 / 지은이 김재..

발길을 따라 2021.10.27

전남 강진. 장수황씨. 양건당 충효정려각.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19호.

양건당 충효정려각(兩蹇堂 忠孝旌閭閣) 전경.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19호.2004년 11월 1일.  양건당(兩蹇堂)이란 한 다리는 병중에 고생하시는 모친을 위해서 잘랐고 또 한 다리는 임진왜란 때 전투에 참가하여 부상으로 인하여 잘라내어 두 다리를 절게 되어 양건당이라 한다. 양건당 황대중 장군은 장수황씨로 5대조부 방촌 황희, 증조부 황응, 부친 황윤정, 모친 진주강씨였다.  ▶소재지: 전남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514-1.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구상마을에 위치한 양건당 충효정려각은 1795년(정조19년)에 양건당 황대중(1551-1597)장군의 충효를 기리기 위해 건립됐다. 김억추 장군과 함께 임진·정유재란 때 크게 활약한 황대중은 원래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당시 영암군수로 부임하던 증조부 황응을 따..

문화재 탐방 2021.04.07

전남 영암. 전씨 충효문(全氏 忠孝門) 전남 기념물 제71호.

전씨 충효문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71호.(1985.02.15)  전남 영암군 서호면 서호로 341(장천리 553-1)    충효문. 전씨 충효문은 전남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에 자리하고 있는데 임진왜란 때 큰공을 세운 전몽성(1561∼1597) 장군 형제의 충절과 효성을 기리고자 세운 것이다. 전몽성은 선조 16년(1583)에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고 임진왜란(1592)이 일어나자 왜구를 무찔러 큰공을 세웠다.  정유재란(1597) 때 동생 전몽진 등과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무찌르다가 해암포 싸움에서 전사하였다. 동생 전몽태 장군은 선조 36년(1603)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 때에 장만, 김완 장군과 함께 큰공을 세웠다. 후에 이들 3형제의 공..

문화재 탐방 201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