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전 34

전북 고창. 무장향교(茂長鄕校) 문화재자료 제107호.

무장향교 홍살문.  무장향교 대성전. 문화재자료 제107호.(1985.08.14)  전북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 109-1 (교흥교촌길 9)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무장향교는 조선 세종 2년(1420)에 처음 지었는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그 뒤 헌종 8년(1842)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홍살문 등이다.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

문화재 탐방 2019.11.01

전북 정읍. 고부향교(古阜鄕校)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4호.

고부향교 홍살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4호. (1984년 4월 1일. 지정) 다녀온 날: 2019년 5월 5일.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6 (교동4길 18)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필자가 답사한 날이 5월 5일 첫 일요일이었는데, 이 날 고부향교에서는 석전대제를 봉행했던 날이었다. 고로 요행하게도 대성전에 모셔놓은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친견할 기회를 얻었다.   석전대제는 음력 2월과 8월의 첫 정일(丁日)에 봉행하는데, 요즘은 향교에 따라 양력 5월 첫 일요일에 봉행하는 곳도 있다.    고부향교 전경.  1403년(태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

문화재 탐방 2019.05.08

전남 순천. 낙안향교(樂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12호.

순천. 낙안향교(樂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12호. (1985.02.25) *마음을 먹고 찾아간 향교나 서원들은 주로 문이 잠겨있어 실망스러울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낙안향교 역시 문이 잠겨있어 내부로는 들어갈 수가 없어 외부 담장 밖에서 촬영하는 수 밖에 없었다.    전남 순천시 낙안면 교촌리 222번지(교촌길 59)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낙안향교는 효종 9년(1658)에 용암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서 수리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동재·서재·내삼문 등이 있다. 내삼문을 경계로 배움의 공간과 제사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앞쪽 낮..

문화재 탐방 2018.10.22

전남 무안. 무안향교(務安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14호.

무안향교(외삼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4호.(1985.02.25)  전남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 260-1.    무안향교 안내문.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태조 3년(1394)에 무안읍성의 남쪽 공수산(현재의 남산)에 세웠으나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서 성종 1년(1470)에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임진왜란(1592) 때 파손된 것을 숙종 15년(1689)에 고쳤으며, 그 뒤에 여러 차례 수리가 있었다. 현 건물들은 조선 후기 이후에 점차적으로 지어진 것이며,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내삼문 등이 있다. 경사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쪽에는 명륜당을 중심으로 배움의 공간을 두고, 뒤쪽에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사공간이 있어 전학후..

문화재 탐방 2018.06.25

전남 장흥. 장흥향교(長興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07호.

장흥향교 홍살문. *아쉼게도 향교 정문인 외삼문이 굳게 잠겨있어 내부를 촬영할 수가 없어 외부 높은 언덕에서 내부쪽을 촬영하였다.   전남 장흥군 장흥읍 교촌남외길 33 (교촌리)  장흥향교(長興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7호.(1985.02.25)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태조 7년(1398)에 세워진 장흥향교는 임진왜란(1592)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8년(1630)에 수리하였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고쳤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제기고 등이 있다. 경사지에 위치한 장흥향교는 내삼문을 경계로 배움의 공간과 제사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앞쪽에는 외삼문·명륜당·동재·서재가 있고, 뒤쪽에는 대성전과 ..

문화재 탐방 2017.12.08

전남 해남. 해남향교(海南鄕校) 전남 문화재자료 제77호.

해남 향교 대성전(海南 鄕校 大成殿)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7호.(1984.02.29)  전남 해남군 해남읍 향교길 20 (수성리 105)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해남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로 보인다. 조선 성종 13년(1482)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지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수리하였다. 건물 배치는 뒤쪽에 대성전과 내삼문, 앞쪽에 명륜당을 일직선상으로 하고 좌·우에 동재와 서재 등을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문화재 탐방 2017.09.02

전남 화순. 동복향교(同福鄕校) 전남 문화재자료 제125호.

동복향교(同福鄕校)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1985.02.25)   동복향교 하마비와 각종 기념비. 전남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 864번지.   동복향교(同福鄕校)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로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다.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동복향교는 조선 세종 27년(1475)에 지금 있는 자리에 처음 지었다. 그 뒤 화재로 인하여 폐교되고 여러 번 자리를 옮기는 등 수난을 겪으면서도 맥을 이어오다가 한국전쟁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1959년 대성전(大成殿)만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大成殿)은 돌담으로 둘러진 약 150평의 대지 중앙에 자리잡..

문화재 탐방 2017.07.21

전남 화순. 능주향교(綾州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4호.

능주향교(綾州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4호.(1985.02.25)  전남 화순군 능주면 교촌길 36(남정리)    능주향교(綾州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다.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능주향교는 태조 1년(1392)에 능주 서쪽에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져 선조 33년(1600)에 하응도가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그 뒤에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사진 곳에 위치하여 뒤쪽 높은 곳에 대성전(大成殿)과 동무·서무가 제사공간을 형성하고, 앞쪽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배움의 공간을 형성하여 전학후묘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 노비..

문화재 탐방 2017.07.14

전남 화순. 화순향교(和順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63호.

화순향교 대성전(和順鄕校 大成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3호.(1976.09.30)  전남 화순군 화순읍 교동2길 14 (교리)  화순향교(和順鄕校)는 훌륭한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백성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조선 세종 15년(1433)에 처음 지어진 후, 여러 차례에 걸쳐 부분적인 공사가 있었다.  약간 높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반적인 향교의 건물 배치처럼 강당인 명륜당이 앞에 있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보이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건물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놓인 주심포 양식의 건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

문화재 탐방 2017.07.07

전남 나주.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8호.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1985.02.25)  전남 나주시 교동 32-1번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나주향교는 태조 7년(1398)에 지었으며, 내부에 계성사라는 사당이 있는데 이곳에는 공자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로 인해 향교의 배치방법이 다른 향교와 다르다.  대부분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앞에 두고, 뒤에 제사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계성사가 있기 때문에 대성전과 명륜당의 위치가 바뀐 전묘후학을 따르고 있다. 호남지방의 향교 중 계성사가 있던 다른 향교는 전주향교와 함평향교 등이 있다.  나주향교의 대성전은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갖춘 건물..

문화재 탐방 2017.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