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공 3

전남 장성. 하서 김인후 유허비(河西 金麟厚 遺墟碑)

하서 김인후 유허비와 며느리 열부 정려각.   *주소: 전남 장성군 황룡면 맥호리 186.    하서 김인후 신도비에서 김인후 선생 생가인 백화정(百花亭)을 가던 도중에비각과 비석 하나를 보게 되는데 비석은 김인후 선생 유허비이며비각 안에는 비석 하나에 두 열부 정려비가 새겨져 있는데이는 김인후 선생의 두 며느리 열부 정려비이다.   정려각과 보호수.   보호수 안내 표지석.   정려각과 유허비. 철망으로 둘러져 있으나 출입은 가능하다.   비석에는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는데文正公 河西 金先生 遺墟碑(문정공 하서 김선생 유허비)이 비는 김인후 선생 유허비이다. 이 유허비(遺墟碑)의 뒷면 비문(碑文)은先生(선생) 歿 後(몰 후) 三百十九 年(삼백십구 년)歲 在(세 재) 戊辰(무진, 1868년) 夏 四月(하..

발길을 따라 2025.03.28

전남 나주. 쌍계정(雙溪亭) 전남 유형문화재 제34호.

나주 쌍계정(雙溪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251번지.   쌍계정은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에 문정공 정가신이 세웠다고 전하는 정자이다. 이름은 정자 좌우로 계곡이 흐르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문정공은 이곳에서 김주정, 윤보와 더불어 학문과 인격을 갈고 닦았는데 이런 이유로 '삼현당'이라 불리기도 했다. 그 뒤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정서, 신숙주 등 당시의 대표적인 학자들이 학문연구 장소로 사용하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쌍계정과 주변의 오래된 나무들이 풍치있게 어울려 조선시대 대표적 정자로 손꼽히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쌍계정.   쌍계정 현판은 한석봉..

문화재 탐방 2015.07.31

전남 나주. 미천서원(眉泉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9호.

나주. 미천서원(羅州 眉泉書院)전라남도 기념물 제29호. 주소: 전남 나주시 안창동 383번지.  나주 미천서원(眉泉書院)은 조선 후기 문신인 허목(1595∼168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허목은 여러 벼슬을 거쳐 이조참판과 우의정을 역임한 분으로 그림, 글씨, 문장에 모두 능하였는데 특히 전서에 뛰어났다. 숙종 5년(1679)에는 고향인 경기도 연천으로 돌아와 후진 교육에 전념하였다. 숙종 16년(1690)에 세운 이 서원은 숙종 19년(1693)에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미천(眉泉)'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정조 23년(1799)에 조선 후기 무신인 채제공(1720∼1799)을 추가로 모시고 섬기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5년(1868)에 폐쇄되었고, 고종 2..

문화재 탐방 201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