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파진 3

전남 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殉節墓域)

정유재란 순절묘역(殉節墓域)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2001년 9월 27일 지정)  이 묘역은 정유재란 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진도군내 사족인 조응량(曺應亮·선무원종공신)을 비롯한 전사자들의 무덤들로 모두 232기이다.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산 117-3외(오일시길 100)     정유재란 순절묘역(殉節墓域)  진도는 정유재란 때 울돌목을 중심으로 수군전이 전개되어 가장 큰 희생이 있었다. 1597년 9월 15일 진도 벽파진에 도착한 이순신 장군은 16일 명량에서 대첩을 거두었으나 곧바로 신안 당사도로 후퇴해버려 우수영과 진도는 왜군의 침략을 받았다. 당시 진도관군은 군수인 송덕일(宋德馹)이 이끌었다. 명량해전 때 전사한 진도사람 중 관군으로 이름이 나오는 인물은 조응량 등 8명이..

문화재 탐방 2020.10.12

전남 진도. 이충무공 전첩비(李忠武公 戰捷碑) 진도군 향토유형유산 제5호.

이충무공 전첩비(李忠武公 戰捷碑) 향토유형유산 제5호.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 682-4.  정유재란 당시 이충무공에 의해 가장 통쾌한 승리를 불가사의하게 거둔 명량해전 승첩을 기념하고 진도 출신 참전 순절자들을 기록하기 위해 1956년 11월 29일 건립되었다. 비신 높이 3.8m, 폭 1.2m, 두께 58㎝이다. 비문은 시인 이은상이 짓고 글씨는 이 고장 출신 서예가 소전 손재형이 썼다.  비문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벽파진 푸른 바다여, 너는 영광스런 역사를 가졌도다. 민족의 성웅 충무공이 가장 외롭고 어려운 고비에 빛나고 우뚝한 공을 새우신 곳이 여기더니라. 옥에서 풀려 나와 삼도수군통제사의 무거운 짐을 다시 지고서 병든 몸을 이끌고 남은 배 12척을 겨우 거두어 일찍 군수로 임명되었던 진..

이순신 유적 201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