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전 7

전남 영암.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보물 제1395호.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보물 제1395호. *주소: 전남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도갑사) 도갑사 도선·수미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首)를 구비한 석비로 도갑사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조선시대 수미왕사의 행적을 기록한 높이 517㎝ 규모의 석비이다. 석비가 자리한 탑구(塔區)는 수매의 판석으로 조성했는데, 전면의 구도는 방형이지만, 뒷면은 귀부의 형상과 같이 ‘ㅅ’자형으로 조성해 전체적으로는 6각형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코는 큼직하며, 반구형의 양 눈은 부리부리하게 표현하였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

한국의 사찰 2022.01.03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해남 대흥사는 2017년 가을부터 매년 가을 단풍철에는 들렸다. 들릴 때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나 금년에 달라진 점은 대웅전에 봉안되었던 부처님을 개금 불사하기 위해 임시 법당으로 이운하였고 대웅전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었다.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장과 도선(道詵)이 중건했다고 되어 있다. 2009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

한국의 사찰 2020.11.06

전남 해남.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해남, 대흥사 일주문. 해남 대흥사는 2017년 가을부터 2018년. 그리고 2019년 가을까지 3차례를 들렸다. 들릴 때마다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나 필자의 집에서 가까운 곳의 단풍을 구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들리게 되었다. 그런데 금년에는 단풍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닌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다녀온 날: 2019년 11월 17일.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산8-1) 대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불린다.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에 따르면 신라의 승려였던 정관(淨觀)이 서기 42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죽미기》(竹迷記)에는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을 자..

한국의 사찰 2019.11.22

전남 강진. 옥련사(玉蓮寺)

옥련사 대웅전.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남 강진군 강진읍 옥련사길 86 (덕남리)   옥련사(玉蓮寺)는 전남 강진군 강진읍 덕남리 기룡 마을 뒤 만덕산의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절로서 1951년 11월 능화(能華)스님과 인근 신도들의 노력으로 백련사(白蓮寺)의 소속이던 송광암(松廣庵) 터에 초가집 두 칸을 지어 강진 대구면 용운리에 있는 정수사(淨水寺)에서 목조여래좌상 1구를 옮겨와 봉안하면서부터 법등을 밝혀오고 있다.  옥련사는 근래에 조성된 사찰이어서 많은 유물은 없는 사찰이지만 그러나 옥련사를 처음 개창하면서 정수사에서 옮겨온 목조불상에서 1991년 5월 복장이 확인되었다. 복장을 확인한 결과 1684년 명의 불상조상기문(佛像造像記文)과 여러 권의 경전..

한국의 사찰 2014.09.23